한국항공우주산업이 방위사업 비리의혹의 중심에 서면서 십자포화를 맞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검찰의 수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해외사업을 추진하는 데도 당분간 큰 차질을 빚게 됐다.
◆ 검찰, 한국항공우주산업 전방위적 수사
17일 사정당국 등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산업이 헬기와 전투기 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협력기업과 비리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검찰이 수사하고 있다.
![]() |
||
▲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 |
S씨는 인사운영팀에서 2007~2014년에 외부용역계약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했다. S씨는 수리온뿐 아니라 경공격기 FA-50 등의 개발을 맡는 외부용역회사를 선정하는 일을 맡았다.
당시 한국항공우주는 수리온과 FA-50 등을 동시에 개발하면서 업무량이 급격하게 늘어나자 사내 정규직 인력만으로는 개발이 어렵다고 보고 외부협력기업에 설계 등 일부 업무를 맡기기로 했다.
검찰에 따르면 S씨는 2007년에 컴퓨터수리업체를 운영하던 처남의 명의로 설계용역기업인 A사를 몰라 차린 뒤 모두 247억 원어치의 용역을 맡긴 것으로 파악됐다. A사는 외부용역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일감을 차지했다.
A사는 직원들의 용역비를 부풀리는 방식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으로부터 많은 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제대로 파악해야 할 S씨의 묵인 아래 비리가 저질러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A사는 한국항공우주산업으로부터 받은 247억 원 가운데 118억 원가량을 몰래 빼돌렸다. S씨가 A사 측으로부터 차명계좌를 통해 20억여 원을 받은 정황도 검찰이 파악했다. S씨는 현재 잠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수리온 개발사업에서도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정관계 인사에 로비를 시도하는 등 비리의혹이 있다고 보고 14일 사천본사와 서울사무소 등을 압수수색한 뒤 관련증거를 확보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 관계자는 “현재 검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어 드릴 수 있는 말씀이 없다”고 말했다.
◆ 하성용 낙마 겨냥했나, 수출사업은 차질 불가피
검찰이 한국항공우주산업을 정조준하고 방산비리 수사를 시작한 데 하성용 사장을 직접 겨냥했을 가능성이 떠오른다.
한국항공우주산업 직원의 횡령의혹이나 수리온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모두 이미 감사원이 감사를 통해 2015년에 발표한 내용이다.
![]() |
||
▲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들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항공우주산업 서울사무소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뉴시스> |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감사원의 문제지적은 전혀 새로울 것이 없다. 이미 다 지적된 내용을 왜 굳이 지금 꺼내나 싶을 정도로 늦은 감이 있다”며 “아무래도 수리온의 문제라기보단 한국항공우주산업의 현 경영진(특히 대표이사)에 대한 정부의 불만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검찰이 각종 개발사업의 비리에 수사를 집중하고 있지만 하 사장에 대한 개인비리 수사도 들여다볼 계획을 세우고 있는 점도 정부가 하 사장의 교체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지배주주가 정부의 금융정책기관이라 과거에도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사장이 교체됐다. 정해주 전 사장과 김홍경 전 사장도 모두 이명박,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진사임했다.
하 사장의 임기는 2019년 5월21일까지지만 이를 끝까지 채우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항공우주산업이 해외에 전투기와 헬기 등을 수출하는 데 발목을 잡힐 수도 있다.
이재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한국항공우주산업은 수리온 3차 양산사업과 해병대에 납품하는 상륙기동헬기 사업 등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며 “완제기 수출 프로젝트도 정부가 어떤 입장을 보이느냐에 따라 수주결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17일 한국항공우주산업 주가는 직전 거래일보다 6600원(11.46%) 급락한 5만1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