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기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에 의지를 보였다.

박 후보자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의원들에 보낸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공수처는 권력의 눈치를 보지 않는 성역없는 수사와 부정부패없는 대한민국의 건설을 위한 대선공약”이라며 “공수처 설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법무부 장관 후보 박상기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필요"  
▲ 박상기 법무부 장관 후보자.
박 후보자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유념해 관련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공수처 설치와 검찰에 대한 각종 내·외부 통제방안 등 다양한 검찰개혁 방안이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후보자는 검찰개혁과 관련해 국민의 신뢰를 받는 검찰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검찰 조직문화를 개방적으로 바꾸고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며 검찰권한이 남용되지 않도록 분산돼 통제돼야 한다는 것이다.

박 후보자는 경찰개혁을 전제로 검경수사권 조정에 나서겠다는 뜻도 보였다. 경찰개혁 조건으로 자치경찰제 시행, 행정·사법경찰 분리, 인권친화적 경찰 확립 등을 내걸었다.

다만 경찰에 영장청구권을 부여하는데는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냈다. 박 후보자는 “수사권을 지닌 다른 수사기관의 영장 청구가 가능해지면 체포·구속과 압수·수색이 남발돼 인권보장에 역행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 후보자는 6월27일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에도 입장자료에서 공수처 신설 등 검찰 개혁의지를 밝혔다.

박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최우선 정책과제 중 하나인 공수처 신설 등 검찰개혁과 법무부의 탈검찰화를 위해 헌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