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9월부터 중국에서 신차출시 등을 통해 판매량을 회복해 나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현대차는 3분기 초로 전망됐던 중국판매 반등이 늦춰지고 있다”며 “비수기인 7~8월 이후 9월에 신차출시와 판매역량을 집중해 판매량을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 |
||
▲ 이원희 현대자동차 사장. |
하지만 사드보복 여파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현지 경쟁회사들이 가격을 인하하면서 판매량 반등시기가 늦춰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차는 여름휴가가 겹쳐 비수기로 통하는 7~8월 재고를 줄이면서 딜러의 이탈을 막은 뒤 9월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량 회복에 나설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차가 중국에서 재고를 줄이는 전략을 선택하며 3분기 중국공장가동률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3분기 중국공장 가동률은 당초 예상한 83%에서 34% 포인트 내려간 49%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차는 하반기 중국에서 준대형SUV ix35와 중국형 올뉴 쏘나타 등 현지 전략신차를 출시한다.
현대차는 2분기 중국에서 판매가 급감하고 미국, 유럽, 인도 등 국가들에서 인센티브가 증가해 부진한 실적을 냈다.
현대차는 2분기 매출 25조7260억 원, 영업이익 1조7070억 원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7%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8.6% 줄어든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대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