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포조선이 수주부진에서 벗어나며 올해 하반기부터 매출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1일 “현대미포조선은 중형선박 중심의 사업전개에서 힘든 2016년을 보냈다”며 “9억1천만 달러라는 부진한 수주 속에 수주잔고가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
▲ 한영석 현대미포조선 사장. |
주력인 PC선(석유화학제품 운반선) 수주잔고는 같은 기간 65억5천만 달러에서 21억1천만 달러까지 급감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현대미포조선은 이미 지난해 연간수주 규모를 넘어서며 수주잔고가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은 4월말까지 신규수주가 9억500만 달러를 기록으며 5월29일 로로선(Ro-Ro선, 자동차운반선)을 1억2천만 달러를 수주해 모두 11억 달러 신규수주를 거뒀다.
현대미포조선은 유럽 선주와 1339억 원 규모의 로로선 2척 수주계약을 했다고 29일 밝혔는데 계약금액은 최근 매출의 3.17% 수준이다.
수주잔고 역시 지난해 11월 기준 17억2천만 달러에서 24억5천만 달러 수준으로 늘어났다.
이 연구원은 “현대미포조선은 수주부진을 탈피해 소폭이나마 수주잔고 증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PC선 수주잔고 비중이 금액기준 55.7%로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바라봤다.
현대미포조선은 2분기에 매출 9920억 원, 영업이익 631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6.1%, 영업이익은 14.8% 줄어드는 것이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현재 수주잔고 기준으로 과거와 같은 충당금 설정 이슈는 없을 것으로 이 연구원은 파악했다. 또 수주잔고 증가세로 하반기부터 매출증가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미포조선은 자회사인 하이투자증권의 매각에 따라 유동성도 확보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원은 현대미포조선 현 주가를 놓고 “현대중공업 분할과정에서 확보하게 된 각 회사의 지분가치가 현재 1조3500억 원에 육박한다”며 “현재 시가총액 1조9900억 원에 반영되어 있는 지분가치를 제거할 경우도 여전히 상승여력이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