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S8의 내부 설계구조가 이전작인 갤럭시노트7과 거의 비슷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규모 디자인 변화에도 생산원가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예상된다.
19일 전자제품 전문연구기관 아이픽스잇은 갤럭시S8플러스의 분해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 |
||
▲ 삼성전자 갤럭시S8의 내부 설계구조. |
갤럭시S8플러스의 내부 기판과 회로 설계구조, 부품 등은 지난해 갤럭시노트7에 적용된 것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설계도 완전히 같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이 결과를 놓고 “삼성전자는 갤럭시S8에서 갤럭시노트7과 같은 결함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자신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의 발화사고 원인이 설계결함이 아닌 배터리 자체 문제라는 조사결과를 내놓았다. 갤럭시S8에 같은 설계가 적용된 것을 볼 때 이 결과를 확신한 것으로 분석된다.
갤럭시S8은 최초로 화면 테두리를 대폭 줄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등 디자인 변화가 대거 적용됐다. 따라서 내부 설계도 이전작과 달라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하지만 설계구조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때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제품 개발에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을 들일 수 있고 갤럭시노트7에 탑재하기 위해 주문해둔 부품을 대부분 그대로 갤럭시S8에 적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갤럭시S8은 한국에서 예약판매기간에 100만 대 이상의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하며 초반부터 빠르게 흥행하고 있다. 판매량 증가와 함께 원가절감 효과에도 힘입어 삼성전자 스마트폰사업의 수익개선에 예상보다 더 큰 폭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