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지만 통상압박을 강화하면서 환율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4월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가 끝났지만 강세 요인과 약세 요인이 혼재되어 있어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원/달러 환율은 1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전거래일보다 2.3원 떨어진 1137.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뉴시스> |
선성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존 기준으로 중국 등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면 기준 자체의 수정이 필요했다”며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 행정부 관료 임명 등 행정부 정비가 늦어지면서 변화를 꾀할만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다”고 파악했다.
10월에도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낮은 만큼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된 불안감은 앞으로 원/달러 환율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선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는 주요 교역 대상국들이 미국 제품 수입확대에 나서도록 압박하는 카드일 뿐 실제 행동으로 연결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결국 앞으로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는 미국의 통상압력 수단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중국과 한국 등 대미무역 흑자국을 상대로 한 통상압박은 더욱 강화하면서 환율 변동성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재무부는 환율보고서에 주요 교역대상국의 경상흑자와 미국의 경상적자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방향을 담았다.
박형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 이슈는 더 이상 원/달러 환율의 하락을 이끌지 못하고 원/달러 환율은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 통상압박을 강화하고 달러화 약세를 유도하기 위해 구두개입을 자주 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환율 변동성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상현 연구원은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된 불안감이 해소되고 북핵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원/달러 환율의 상승요인”이라며 “다만 국내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북핵 리스크가 장기화될 가능성은 낮은 만큼 추세적인 상승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달러 환율의 상승과 하락 요인이 혼재된 상황에서 미국의 눈치를 보느라 외환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진 점도 환율변동성을 확대할 요인으로 꼽혔다.
원/달러 환율은 1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전거래일보다 2.3원 떨어진 1137.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