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제과가 올해 해외사업의 안정화와 롯데그룹의 지주사 전환작업에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러시아법인의 경우 성장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경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롯데제과는 수익성이 예상보다 악화해 아쉬운 상태”라면서도 “중국법인의 손상차손 등 일회적 요인이 큰 만큼 반등의 기회는 있다”고 분석했다.
![]() |
||
▲ 김용수 롯데제과 대표. |
국내에서 빙과매출이 권장소비자가격의 확대시행으로 차츰 오르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꼽혔다.
특히 롯데그룹이 지주사체제로 전환할 경우 롯데제과의 기업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롯데제과가 지주사 전환의 중심에 서게 될 경우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며 “경영투명성 개선 등에 따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파악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일본롯데가 롯데제과 지분을 매입하고 있는 점이 롯데제과의 입지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신 회장은 1월 롯데제과 주식 4만180주를 장내 매입했다. 주식 취득 이후 신 회장의 지분율은 9.07%로 올랐다.
다만 러시아법인인 롯데유럽홀딩스 B.V.(Lotte Europe Holdings B.V.)의 수익성 회복은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러시아법인의 제과사업은 카카오파이 등의 인기로 양호한 상태지만 유통과 호텔사업이 악화했다”며 “제과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의 설득력 있는 개선전략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롯데제과 주가는 전일보다 4.11% 오른 20만2500원에 장을 마쳤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