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이용자들의 주문형비디오(VOD)이용요금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는 6일 KBS, MBC, SBS 등 지상파방송 3사의 VOD를 HD급 화질로만 제공하기 시작했다. 기존SD급 화질의 VOD는 이날 방송분부터 서비스하지 않는다.
![]() |
||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왼쪽부터)과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
지상파 측은 “HD제작이 보편화됐고 UHD 방송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SD급 VOD까지 제공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통3사의 IPTV이용자들은 SD급 VOD서비스가 중단되면서 VOD이용요금이 다소 늘 것으로 보인다. SD급 VOD가격은 700~1천 원 수준이고 HD급은 1500원이기 때문이다.
지상파뿐만 아니라 CJ E&M의 채널인 tvN, Mnet, OGN과 JTBC, MBN, TV조선, 채널A 등 종편채널의 VOD서비스 이용료도 27일부터 인상된다.
CJ E&M의 SD급 VOD 가격은 기존 700원에서 1200원, HD급은 1천 원에서 1500 원으로 오른다. 종편채널의 경우 SD급 VOD가 700원에서 1천 원으로, HD급은 1천 원에서 1500원으로 변경된다.
업계의 한 관게자는 “SD급 VOD중단과 VOD가격인상은 IPTV이용자들의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드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