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행정원장, 반도체 관세 관련 '한국-대만 협력' 두고 "아는 바 없다"

▲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오른쪽 네 번째)이 9월10일 타이베이 난강전시센터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 '세미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만 행정원>

[비즈니스포스트]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가 미국의 반도체 관세 정책에 관련해 한국과 공조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은 25일(현지시각) 입법원(국회)에서 “한국과 협력 논의를 하고 있다는 정보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고 로이터가 이날 보도했다. 

줘 원장은 “현재 관세 문제는 미국과의 일대일 협상만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예고한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대만과 협력 여지가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6일 “반도체에 약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모든 수입산 집적회로(IC)와 반도체가 대상이며 미국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건설 중이거나 건설을 약속한 기업에는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트럼프 대통령은 언급했다. 

이후 트럼프 정부는 3개월이 지난 11월26일 현재까지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발표하지 않았다. 

대만에는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 TSMC가 있으며 한국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생산업체가 있다. 

줘 원장은 “대만과 한국은 첨단 반도체 제조와 관련 분야에서 경쟁은 있지만 비교적 ‘우호적 경쟁’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