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여당과 야당이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국정조사 협의를 이어갔지만 추진 방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속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18일 국회에서 2+2 회동을 열고 국정조사 방식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여야 '대장동 항소 포기 국정조사' 협의 결렬, 조사 방식 이견

▲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가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원내운영수석은 회동을 마친 뒤 "국정조사 방식에 대해선 좀 더 논의하기로 했다"며 "당분간 일방 처리하지 않기로 합의가 됐다"고 말했다.

유 원내운영수석은 "국정조사 내용에 대해 민주당이 주장하는 조작 수사, 항명,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항소 포기 외압 의혹 내용을 다 포함하는 것까지는 합의가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조사 방식을 두고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민주당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별도의 국정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추진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양측은 조만간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유 원내운영수석은 "언제 만날지 결정한 바는 없다"면서도 "필요하면 언제든 만나겠다는 마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여야는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하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구체적인 논의는 향후 진행하기로 했다.

문 원내운영수석은 정개특위와 관련해 "당내 논의를 거쳐 실시하는 것에 대해 '한 번 정리해보자'는 정도까지 논의가 됐다"며 "당내 논의 과정을 거쳐 만나서 다시 이야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유 원내운영수석은 "정개특위를 구성해 지방선거 전 지방선거의 선거구 획정을 논의하자는 얘기가 있었고, 민주당에서도 그 부분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