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세대교체 흐름이 빨라지고 있다. 경영 후계자로 일찍이 낙점되거나 유력하게 거론되는 오너일가 구성원이 이에 맞춰 차근차근 존재감을 쌓고 있다. 이들은 빨라지는 시대적 변화 속에 그룹 안팎에서 경험을 쌓거나 역할을 점차 확대하며 차기 경영승계를 위해 역량을 키우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한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주요 대기업 후계자들의 2026년 행보를 짚어본다. 이들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혈연이 아닌 능력으로 정당한 리더십을 인정받을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지 가늠해본다.

-글 싣는 순서
① SK그룹 3세 전면 등판 가시권, 경영참여 시작한 '최윤정' 외부경험 쌓는 '최인근' 
② CJ 이재현 후계자 교육 속도, 아들 이선호 '전천후 경영인' 딸 이경후 '문화 전문가'로
③ 롯데그룹 사업군 넘나드는 신유열, 신동빈 승계수업 가속화에 대관식 다가온다
④ '한우물' 허세홍 허윤홍 '다양성' 허서홍, GS그룹 위상 후퇴에 오너4세 부담 커져
⑤ 한화 금융계열사 이끄는 김동원, 인니·미국 성과로 승계 정당성 굳힌다 
⑥ 금호건설 박세창 빅배스 여파에 안전사고 부담까지, 2026년에는 미등기 임원 '조용한 경영' 깰까 
⑦ 정기선 HD현대 회장 취임 '3세 경영 시대 개막', 경영 성과로 능력 입증 과제
⑧ 이규호 신사업부터 민간외교까지 넓어진 보폭, 코오롱 경영승계에 다가오는 전환점
⑨ LS그룹 ‘포스트 구자은’ 후보들 내년 과제는, 구본규 '미국 증설'·구본혁 'AUM 확대'·구동휘 '전구체 수율향상'
⑩ 신약 개발 도약 꿈꾸는 셀트리온 서진석, 내년부터 임상 결과도 속속

[2026 후계자 포커스④] '한우물' 허세홍 허윤홍 '다양성' 허서홍, GS그룹 위상 후퇴에 오너4세 부담 커져

▲ (왼쪽부터) 허세홍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 허윤홍 GS건설 대표이사 사장, 허서홍 GS리테일 대표이사.

[비즈니스포스트] GS그룹의 재계 순위가 2년 연속 내려 앉으면서 각 사업부문의 키를 잡은 허세홍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 허윤홍 GS건설 대표이사 사장, 허서홍 GS리테일 대표이사 등 오너4세 경영인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들의 성적표와 경영전략은 각자 젊은 오너경영인으로서 성과뿐 아니라 향후 GS그룹 미래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8일 재계 안팎에 따르면 GS그룹이 그룹 전반에 걸쳐 수익창출원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시각이 나오면서 젊은 오너경영인들의 발걸음도 바빠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GS그룹은 수년 동안 재계 8위를 굳건히 지켰지만 최근 잇따른 순위 하락을 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GS그룹은 올해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결과 발표에서 10위로 한 단계 순위가 떨어졌다. 2023년 8위에서 지난해 9위로 내려온 뒤 2년 연속으로 순위가 밀려난 것이다.

앞서 GS그룹은 허태수 회장이 취임한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재계 순위 8위를 꾸준히 유지했었다.

GS그룹은 지난해 신규 선박수주에 따라 계약자산이 증가하며 순위를 끌어올린 HD현대그룹에, 올해는 예대마진(대출이자와 예금이자 차이에서 발생하는 수익)이 확대되며 자산이 증가한 농협그룹에 자리를 순차적으로 내줬다.

반면 GS그룹은 지난해에는 GS칼텍스가 1조1천억 원 규모의 차입금을 대거 상환한 점, 올해는 유가 하락에 따라 GS칼텍스를 포함한 관련 계열사들의 자산이 감소한 점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구체적으로 재계 순위를 결정하는 지표를 보면 GS그룹 내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위기의식이 숫자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GS그룹의 공정자산 총액은 2023년 81조8360억 원에서 지난해 80조824억 원, 올해 79조3170억 원으로 2년 연속 축소됐다.

지난해나 올해 공정자산 총액이 줄어든 10대 대기업집단은 GS그룹이 유일하다. 30위 안팎으로 범위를 넓혀도 2년 연속 총액이 감소한 곳은 GS그룹과 CJ그룹뿐이다. 

허태수 회장이 취임한 뒤 오너4세들의 경영 보폭이 넓어진 만큼 이들의 책임도 적지 않다는 시각이 나온다.

현재 정유·석유화학, 건설, 유통 주력으로 하는 GS그룹은 각 주요 계열사를 모두 오너4세 대표가 이끄는 구조를 갖췄다.

이에 이들이 지금까지 오너로서 쌓아온 경영능력을 어떻게 입증하느냐가 향후 GS그룹 전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허태수 회장 체제 이전부터 GS칼텍스를 이끌어온 허세홍 사장은 지금까지 경력 대부분을 GS칼텍스에서 보냈다. GS칼텍스는 그룹에서 전통적 근간에 꼽히는 정유·석유화학사업을 담당한다.

2003년부터 GS칼텍스의 합작투자사인 미국 정유회사 셰브론 싱가포르 지사에서 일한 허세홍 사장은 2007년 GS칼텍스 싱가포르 법인 부법인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 동안 GS글로벌 대표를 맡을 때를 제외하고는 GS칼텍스에서만 일했고 2019년 1월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에 올랐다.

최근 재계 순위 하락에 GS칼텍스 영향 큰 만큼 허세홍 사장의 어깨 무거운 상황으로 풀이된다. GS칼텍스 실적이 유가 및 정제마진 등에 좌우되는 경향이 크고 석유화학 산업으로도 다각화가 쉽지 않은 업황에 마주했기 때문이다.

허세홍 사장은 최근 디지털 및 인공지능 전환을 통해 차별화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바이오연료, 바이오케미칼, 수소, 폐플라스틱 재활용 등친환경사업 전환으로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GS칼텍스의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분야의 성공은 GS그룹 전반의 성과와 함께 GS그룹 오너4세 가운데 맏형이자 첫 부회장 승진 후보로 거론되는 허세홍 사장의 향후 입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 후계자 포커스④] '한우물' 허세홍 허윤홍 '다양성' 허서홍, GS그룹 위상 후퇴에 오너4세 부담 커져

허태수 GS그룹 회장이 3월28일 'GS 창립 20주년 및 GS아트센터 개관 기념행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GS >

2023년 인천 검단아파트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 이후 경영 전면에 등판한 GS건설의 허윤홍 사장도 사실상 건설 외길만 걸어온 경력을 보인다.

2002년 GS칼텍스로 입사한 뒤 2005년부터는 아버지인 허창수 회장이 대표를 맡고 있던 GS건설에서 지금까지 근무했다.

허윤홍 사장은 경영관리팀·플랜트기획팀·외주기획팀 부장, 재무팀장, IR담당 등을 두루 거쳐 상무 승진 뒤 플랜트부문을 맡았고 2018년부터는 GS건설의 신사업을 이끌었다. 특히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를 신사업의 핵심축으로 삼은 것은 허윤홍 사장의 성과로 꼽힌다.

GS건설이 2023년 인천 검단아파트 사고 수습을 위한 비용으로 4천억 원 가까운 영업손실을 본 상황에서 허윤홍 사장은 주택사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사를 수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수처리기업 GS이니마 매각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다시 미래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됐다.

가장 최근인 지난해 말 인사를 통해 GS리테일 수장에 오른 허서홍 대표는 허세홍 사장, 허윤홍 사장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지녔다.

2003년 삼성KPMG 연구원(애널리스트)를 시작으로 2006년 GS홈쇼핑 신사업팀, 2009년 셰브론 비즈니스 연구원을 거쳐 2012년부터 GS에너지에서 LNG사업, 전력·집단에너지사업, 경영기획, 경영지원 부서를 두루 경험했다.

2020년에는 지주사 GS의 미래사업팀장에 발탁돼 국내 보툴리눔톡신 1위 업체 휴젤 인수를 이끌었고 인수 이후 2년 넘게 휴젤 기타비상무이사로도 활동했다. 2023년 말 경영전략서비스유닛장으로 GS리테일에 둥지를 튼 뒤 이듬해 말부터 회사를 이끌고 있다.

허서홍 대표의 이력은 유행에 민감하고 변화가 빠른 유통 부문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허서홍 대표은 올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해 전년보다 개선된 GS리테일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허태수 회장은 최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에 참석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 수장들과 직접 네트워킹에 참여하는 등 여전히 경영 전면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허세홍 사장을 제외한 다른 오너4세들의 대표 경력이 그리 길지 않은 탓에 한동안 GS그룹을 둘러싸고 허태수 회장 이후 승계 구도에 관한 논의보다는 오너 4세 경영자들의 성과를 향한 주목도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