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어프레미아는 지난 16일 영국 롤스로이스로부터 보잉 787-9 전용 엔진 ‘트렌트 1000’ 1기를 추가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엔진은 블레이드와 냉각 시스템 재설계를 통해 운항 가능 시간이 기존 모델 대비 3배 증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회사는 토탈케어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엔진을 모두 신형으로 전화해 운항 지속성과 안전성을 높여 나간다.
현재 에어프레미아의 항공기 보유 대수는 8대, 엔진은 16기로 예비엔진 보유율은 25%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사들이 10% 수준의 예비엔진 보유율을 기록하는 것과 비교해 매우 높은 수치로, 엔진 정비나 교체 등 비정상 상황이 발생해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운항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에어프레미아는 롤스로이스의 토탈케어 프로그램으로 엔진 상태를 상시 관리하고 있다.
또 KLM과 루프트한자 테크닉의 부품 서비스와 보잉의 예비 랜딩기어 교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정비 효율을 높이고 있다.
한국항공서비스(KAEMS)와 항공기 자재 공동 구매 및 중정비 위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는 등 국내 정비 역량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엔진·부품·랜딩기어 등 항공기 주요 장비 전반에 걸친 안정적 정비 체계를 구축했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예비엔진 추가 도입은 운항 안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에어프레미아의 원칙과 맞닿아 있다”며 “세계적 수준의 정비·운항 체계를 기반으로 고객이 더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이번에 도입된 엔진은 블레이드와 냉각 시스템 재설계를 통해 운항 가능 시간이 기존 모델 대비 3배 증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회사는 토탈케어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엔진을 모두 신형으로 전화해 운항 지속성과 안전성을 높여 나간다.
▲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모습. <에어프레미아>
현재 에어프레미아의 항공기 보유 대수는 8대, 엔진은 16기로 예비엔진 보유율은 25%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사들이 10% 수준의 예비엔진 보유율을 기록하는 것과 비교해 매우 높은 수치로, 엔진 정비나 교체 등 비정상 상황이 발생해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운항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에어프레미아는 롤스로이스의 토탈케어 프로그램으로 엔진 상태를 상시 관리하고 있다.
또 KLM과 루프트한자 테크닉의 부품 서비스와 보잉의 예비 랜딩기어 교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정비 효율을 높이고 있다.
한국항공서비스(KAEMS)와 항공기 자재 공동 구매 및 중정비 위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는 등 국내 정비 역량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엔진·부품·랜딩기어 등 항공기 주요 장비 전반에 걸친 안정적 정비 체계를 구축했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예비엔진 추가 도입은 운항 안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에어프레미아의 원칙과 맞닿아 있다”며 “세계적 수준의 정비·운항 체계를 기반으로 고객이 더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