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10월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10·15 대책에도 9월의 두 배 수준까지 높아졌다.
17일 직방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월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낸 전국 민영 분양주택 가운데 1순위 청약 경쟁률은 8.1대 1로 9월(4.1대 1)의 두 배 수준에 이르렀다.
서울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등 핵심지역은 규제지역 지정 이후에도 청약 열기를 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정부 규제 강화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우려가 있었지만 핵심 정비사업 단지가 입지와 상품성을 바탕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됐다.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서울 동작구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326.7대 1)과 서초구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237.5대 1), 경기 성남 '더샵 분당 티에르원'(100.4대 1) 등으로 기록됐다.
비규제지역 단지들도 중도금 대출·전매제한 규제에서 제외되며 준수한 성과를 거뒀다.
경기 김포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17.4대 1)와 '김포 풍무역세권 B5블록 호반써밋'(7.3대 1), 경기 안양 '만안역 중앙하이츠 포레'(7.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직방은 “정부의 규제 속에서도 상품성이 높은 핵심지에 뚜렷한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며 “비규제지역으로 지정된 단지들도 실수요 중심으로 비교적 탄탄한 성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청약통장 가입자 가운데 1·2순위 청약자 구성이 변화하며 수요가 재조정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9월 전체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약 2635만 명으로 1월과 비교해 9만 명 줄어들었다.
이 가운데 1순위 청약자는 9월 기준 1737만 명으로 1월과 비교해 약 24만 명 줄었고 2순위 청약자는 897만 명으로 15만 명가량 늘었다.
직방은 “일부 이탈이 있었지만 대기 수요 자체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며 재조정되고 있다”며 “이번 결과로 볼 때 청약 열기가 식었다기보다는 입지 조건과 자금 여력에 따라 수요가 분화하며 조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
17일 직방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월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낸 전국 민영 분양주택 가운데 1순위 청약 경쟁률은 8.1대 1로 9월(4.1대 1)의 두 배 수준에 이르렀다.
▲ 10월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낸 전국 민영 분양주택 가운데 1순위 청약 경쟁률은 8.1대 1로 기록됐다. 사진은 서울 아파트 전경.
서울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등 핵심지역은 규제지역 지정 이후에도 청약 열기를 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정부 규제 강화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우려가 있었지만 핵심 정비사업 단지가 입지와 상품성을 바탕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됐다.
세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서울 동작구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326.7대 1)과 서초구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237.5대 1), 경기 성남 '더샵 분당 티에르원'(100.4대 1) 등으로 기록됐다.
비규제지역 단지들도 중도금 대출·전매제한 규제에서 제외되며 준수한 성과를 거뒀다.
경기 김포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17.4대 1)와 '김포 풍무역세권 B5블록 호반써밋'(7.3대 1), 경기 안양 '만안역 중앙하이츠 포레'(7.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직방은 “정부의 규제 속에서도 상품성이 높은 핵심지에 뚜렷한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며 “비규제지역으로 지정된 단지들도 실수요 중심으로 비교적 탄탄한 성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청약통장 가입자 가운데 1·2순위 청약자 구성이 변화하며 수요가 재조정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9월 전체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약 2635만 명으로 1월과 비교해 9만 명 줄어들었다.
이 가운데 1순위 청약자는 9월 기준 1737만 명으로 1월과 비교해 약 24만 명 줄었고 2순위 청약자는 897만 명으로 15만 명가량 늘었다.
직방은 “일부 이탈이 있었지만 대기 수요 자체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며 재조정되고 있다”며 “이번 결과로 볼 때 청약 열기가 식었다기보다는 입지 조건과 자금 여력에 따라 수요가 분화하며 조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