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임원인사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이번에 부회장 승진자가 나올지 주목된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이인원 전 부회장이 사망한 뒤 아직까지 부회장이 없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이 2월 초에 임원인사를 실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6년 만에 새로운 부회장이 탄생할지 관심이 쏠린다.
![]() |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최근 발표한 재계순위 10위 안에 드는 그룹 가운데 부회장이 없는 곳은 오너가 없는 포스코를 제외하면 롯데그룹이 유일하다.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 SK그룹은 많게는 9명까지 부회장을 두고 있다. 각 그룹에서 부회장들은 회장을 지근거리에서 모시거나 회장이 부재할 때 그룹 경영을 이끄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부회장은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전문경영인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고의 자리로 전문경영인으로서 대단한 영예이기도 하다.
롯데그룹은 재계순위 5위다. 규모와 위상 등을 고려할 때 이번 임원인사에서 부회장 승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롯데그룹이 유통뿐만 아니라 석유화학과 식품, 건설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어 사실상 신동빈 회장이 모든 사업을 직접 챙기기 어렵다는 점도 부회장 승진자가 나올 가능성에 힘을 실어준다.
롯데그룹 계열사는 70여 개에 이른다. 롯데쇼핑과 롯데케미칼, 롯데칠성음료 등 주요 계열사만 20여 개에 이르는 만큼 계열사 사장들 간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롯데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정책본부의 수장 자리가 채워지면서 동시에 부회장으로 승진할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된다. 이인원 전 부회장의 역할과 직급을 그대로 물려받는 셈이다.
롯데그룹이 정책본부를 축소하기로 했지만 투자와 고용, 대외적 이미지 개선 등 그룹 차원의 판단이 필요한 업무는 여전히 정책본부에서 이뤄지게 돼 정책본부 수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컨트롤타워로서 정책본부의 역할이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며 "규모를 줄이는 대신 대외적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수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황각규 정책본부 운영실장 사장은 정책본부장에 오를 것으로 유력하게 전망되고 있다. 황 사장은 신동빈 회장의 가장 최측근으로 2011년 2월 신 회장이 회장으로 취임할 때 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롯데그룹의 숙원사업인 롯데월드타워 개장을 포함해 그룹의 굵직한 현안을 직접 챙기고 있다.
이인원 전 부회장은 1947년생으로 65세에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황 사장은 1955년생으로 올해 63세다. 이 전 부회장은 1973년 롯데그룹에 입사해 43년 동안 그룹에 몸담았다. 황 사장은 1979년에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해 올해로 39년째를 맞는다.
신 회장이 현장을 강조하면서 최근 몇년 동안 롯데케미칼의 실적 개선을 이끈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할 수 있다는 말도 나돈다.
신 회장은 신년사에서 “올해 정책본부가 축소돼 재편됨에 따라 각 계열사에서 현장중심의 책임경영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조4천억 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허 사장이 처음 대표이사를 맡았던 2012년과 비교해 550%나 늘어난 수치다.
허 사장은 1951년생이며 1976년에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했다. 황 사장의 3년 입사선배다.
롯데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부회장의 벽이 높다. 롯데그룹에서 전문경영인 가운데 부회장까지 오른 사람은 지난해 사망한 이인원 전 부회장이 유일했다.
이 전 부회장은 신 회장이 회장으로 취임한 2011년 2월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신 회장을 도와 그룹의 체질개선을 이끌고 롯데그룹이 재계 5위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한 공을 인정받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