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9월 서울 주택 가격 상승폭이 세 달만에 커졌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서울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8월보다 0.58% 올랐다. 7월과 8월에는 상승폭이 줄었다가 세 달 만에 오름폭이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했고 상승거래가 포착돼 서울 전체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북 매매가격지수 상승폭은 0.51%, 강남은 0.64%로 집계됐다.
지난달에 비해 가장 크게 오른 성동구(1.49%)는 금호·성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1.30%)는 문정·잠실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용산구(1.20%)는 이촌·문배동 위주로 상승했다.
9월 수도권 주택 가격은 지난달과 비교해 0.22% 올랐다.
인천 지역 매매가격지수는 0.04% 하락했다.
서구(-0.09%)는 원당·가정동 신축 위주로, 연수구(-0.09%)는 동춘·선학동 위주로 내려갔다. 다만 중구(0.03%)와 미추홀구(0.02%)는 상승했다.
경기 지역 매매가격지수는 지난달과 비교해 0.06% 올랐다.
성남 분당구(1.74%)는 정자·금곡동 대단지 위주로, 광명시(0.85%)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올랐다.
9월 전국 주택 가격은 8월보다 0.09% 올랐다.
5대 광역시 가운데 대구는 달서구 중소형 규모 및 북구 구축 위주로 0.20% 상승했고 대전은 유성·서구 위주로 0.11% 하락했다.
이밖에 제주는 미분양 적체로 인해 서귀포시 위주로 0.13% 내렸고 전남은 여수·광양시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지난달 대비 상승지역은 83개에서 88개로 늘어났고 하락지역은 95개에서 88개로 줄었다. 보합지역은 0개에서 2개로 증가했다. 조수연 기자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서울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8월보다 0.58% 올랐다. 7월과 8월에는 상승폭이 줄었다가 세 달 만에 오름폭이 확대됐다.

▲ 9월 서울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8월보다 0.58%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했고 상승거래가 포착돼 서울 전체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북 매매가격지수 상승폭은 0.51%, 강남은 0.64%로 집계됐다.
지난달에 비해 가장 크게 오른 성동구(1.49%)는 금호·성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1.30%)는 문정·잠실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용산구(1.20%)는 이촌·문배동 위주로 상승했다.
9월 수도권 주택 가격은 지난달과 비교해 0.22% 올랐다.
인천 지역 매매가격지수는 0.04% 하락했다.
서구(-0.09%)는 원당·가정동 신축 위주로, 연수구(-0.09%)는 동춘·선학동 위주로 내려갔다. 다만 중구(0.03%)와 미추홀구(0.02%)는 상승했다.
경기 지역 매매가격지수는 지난달과 비교해 0.06% 올랐다.
성남 분당구(1.74%)는 정자·금곡동 대단지 위주로, 광명시(0.85%)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올랐다.
9월 전국 주택 가격은 8월보다 0.09% 올랐다.
5대 광역시 가운데 대구는 달서구 중소형 규모 및 북구 구축 위주로 0.20% 상승했고 대전은 유성·서구 위주로 0.11% 하락했다.
이밖에 제주는 미분양 적체로 인해 서귀포시 위주로 0.13% 내렸고 전남은 여수·광양시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지난달 대비 상승지역은 83개에서 88개로 늘어났고 하락지역은 95개에서 88개로 줄었다. 보합지역은 0개에서 2개로 증가했다. 조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