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오른쪽)과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겸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김 회장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사태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사재 출연이 아니라 매각(M&A) 만이 홈플러스를 회생시키는 길이라고 보느냐’라는 질의에 “매각 성사만이 살 수 있는 방법”이라고 답했다.
그는 “매각을 성사시켜야 하니 많이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다만 매각 성사가 쉽지 않다는 점은 인정했다.
김광일 홈플러스 공동대표이사 겸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매각 성공 가능성을 놓고 “현재는 절반 정도, 반반으로 생각한다”며 “최종 의사결정권자들(오너급)이 의사를 결정하면 할 수 있는 단계에 와있는데, 그 마지막 관문을 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이어 “10월 말까지는 인수의향서를 제출받아 법원에 제출해야 한다고 본다”며 “인수의향서를 받으면 법원에 (회생계획서 제출 기한을) 연장해 달라고 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긴다”고 덧붙였다.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지난 2일 매각 방식을 놓고 우선협상 대상자를 찾는 ‘스토킹호스’ 방식을 포기하고 공개 경쟁입찰 공고를 냈다.
여기서 인수 희망자를 찾지 못하면 홈플러스는 최악의 경우 회생법원 결정에 따라 기업을 청산해야 한다.
김 부회장은 이와 관련해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진행해 인수의향서 제출자를 확보하는 것이 원래 목표였는데, 성공하지 못했다”며 “법원에서는 더 기다려주지 않고 공개입찰을 하라고 해, 공개입찰을 해놓고 인수희망자와 계속 설득하고 협의하고 있다”고 했다.
스토킹호스는 우선협상자를 먼저 선정한 뒤 공개 경쟁 입찰 방식의 본입찰을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본입찰에서 더 좋은 조건이 제시되지 않으면 우선협상자가 최종 인수자가 된다.
법원이 결정한 기한을 넘어서도 인수의향자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과 관련해 김 부회장은 “법원에 연장을 요청할 것”이라고 답했다.
MBK파트너스는 법인 운영수익(성공보수 및 관리보수)을 활용해 최대 2천억 원을 홈플러스에 추가 증여해 기업 회생을 지원키로 했다.
다만 이날 매각을 도와달라는 김 회장의 발언을 놓고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와 정부에 매각을 도와달라고 하는 게 말이 안 되며, 그동안 뭐 했길래 저런 얘기를 하느냐”며 “이는 국회에 대한 모독”이라고 지적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