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범석 우아한형제들 대표(오른쪽)가 14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 <연합뉴스>
우아한형제들은 배달 앱인 배달의민족을 운영하고 있다.
김 대표는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해 “저희는 정책상으로 최혜대우를 요구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는 입점 업체들에 음식 가격과 각종 혜택을 경쟁 앱과 같은 수준으로 낮추도록 하는 최혜대우를 강요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를 앞두고 있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대표에 배달의민족이 최혜대우를 요구했다는 증거 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이와 관련해 “해당 부분을 정확히 살펴보고 추후 따로 공유하겠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배달의민족 가격조작 의혹에 대해 “고객에게 최대한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만약 그런 상황이 있었다면 회사 정책이 아니라 실수가 있었던 것 같다”고 주장했다.
1인분 무료배달 서비스를 운영할 당시 일반 자영업자에게 높은 할인율을 요구해 차별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근 배달의민족이 라이더용 배달앱 ‘로드러너’와 관련해서는 피드백을 통해 부족한 점을 개선할 것이라고 그는 밝혔다.
그는 “최대한 피드백을 반영해 부족한 점을 개선하고 우아한형제들 기술자와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우아한형제들은 현재 라이더용 배달앱인 로드러너를 시범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로드러너는 우아한형제들의 독일계 모기업인 딜리버리히어로가 개발한 앱이다. 이를 도입하면 배달의민족은 딜리버리히어로에 이용료를 내야 한다.
우아한형제들은 기존 라이더용 앱으로 자체 앱인 ‘배민커넥트’를 사용해왔다. 배민커넥트는 라이더가 원할 때 배달 주문을 수행할 수 있지만 로드러너에서는 라이더가 배달이 가능한 시간대를 예약해야 해당 시간에 일을 할 수 있다.
라이더 단체는 이를 놓고 로드러너가 라이더의 실제 운행거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오류가 많고 기존 앱보다 불편함이 크다고 주장하며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