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미 투자액을 3500억 달러보다 더 늘려달라는 요구는 없었다고 밝혔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부 국정감사에서 미국 정부가 기존에 합의된 3500억 달러보다 더 많은 투자를 한국에 요구했다는 일부 외신 보도에 관해 “미국 측에서 (기존 합의보다 더 큰 규모로의) 투자 증액 요구는 없었다”고 말했다.
 
산업장관 김정관 "미국의 3500억 달러 투자금 증액 요구 없어" "새 제안 와서 검토 중"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3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관세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것을 두고는 미국에서 직접 투자 중심으로 요구 내용을 바꿨기 때문에 조율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처음에는 통화 스와프를 요청할 이슈가 없었는데 미국에서 (직접) 투자 중심의 제안이 왔다 “처음 3500억 달러는 (직접) 투자 중심이라기보다는 대출과 보증이 중심이었는데 협상 과정에서 내용이 조금씩 바뀌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날 외교통상부 국정감사에서 김 장관과 같은 취지로 발언했다.

조 장관은 “당초 미국이 3500억 달러 이야기를 할 때는 직접투자뿐 아니라 대출, 대출보증까지 포함된 패키지였다”라며 “그 후에 갑자기 전액 직접투자로 바뀌었고 우리는 3500억 달러 직접투자는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새로운 협상안을 들고 나왔다며 우리 정부가 내용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 과정을 두고 “미국 쪽에서 지금 새로운 대안을 들고 나왔다”며 “(내용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