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산업통상자원부가 핵심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을 속도감 있게 이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산업부는 24일 ‘공공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협의회’를 발족한 뒤 1차 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역량을 결집해야 에너지 대전환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확대 및 제도개선, 산업경쟁력 강화, RE100 산단 및 지역 상생 등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탄소중립 달성, 산업경쟁력 강화 등 핵심 성과 도출에는 공공기관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발족한 공공 정책협의회는 한전 및 발전공기업, 수자원‧농어촌‧도로‧철도‧공항공사, 에너지기술평가관리원, 에너지공단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유관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최초의 협의체로 구성됐다.
이후 진행된 1차 회의에서는 기관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방안,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이원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목표로 공공기관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각 공공기관이 여건과 특성에 맞게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필요한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나가고 정부가 이를 적극 뒷받침해 국정과제의 실질적이고 속도감 있는 이행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추진방안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산업부는 24일 ‘공공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협의회’를 발족한 뒤 1차 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24일 ‘공공 재생에너지 전환 정책협의회’를 발족한 뒤 1차 회의를 진행했다.
산업부는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역량을 결집해야 에너지 대전환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확대 및 제도개선, 산업경쟁력 강화, RE100 산단 및 지역 상생 등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탄소중립 달성, 산업경쟁력 강화 등 핵심 성과 도출에는 공공기관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발족한 공공 정책협의회는 한전 및 발전공기업, 수자원‧농어촌‧도로‧철도‧공항공사, 에너지기술평가관리원, 에너지공단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유관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최초의 협의체로 구성됐다.
이후 진행된 1차 회의에서는 기관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방안,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이원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목표로 공공기관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각 공공기관이 여건과 특성에 맞게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필요한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나가고 정부가 이를 적극 뒷받침해 국정과제의 실질적이고 속도감 있는 이행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추진방안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