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복제약) ‘램시마’가 미국에서 오리지널 의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길이 넓어져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18일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을 바이오시밀러로 대체조제할 수 있는 가이던스(지도안)의 초안을 발표했다. 지도안은 3월 말에 최종적으로 확정된다.
![]() |
||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
미국은 그동안 대체조제에 대한 공통된 규정이 없어 바이오시밀러의 상호대체성을 인정하지 않았는데 지도안이 확정되면 대체조제가 가능한 바이오시밀러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규정이 확정되면 셀트리온은 램시마의 미국판매를 더욱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셀트리온은 지금까지 미국에서 램시마 판매대상을 신규환자로 국한하고 있었는데 오리지날 의약품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까지로 대상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오리지날 의약품 ‘레미케이드’를 복용하던 환자가 약국에서 자유롭게 램시마를 구입하게 되는 것이다.
판매대상이 기존 환자에게 확대되면 램시마의 판매는 급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환자들이 레미케이드보다 15% 정도 저렴한 램시마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만 램시마가 상호대체가능약제로 분류되려면 미국에서 추가적인 ‘스위칭임상’을 거쳐야 한다. 스위칭임상이란 오리지널 의약품을 투여 한 환자에게 일정한 시점부터 바이오시밀러로 바꿔 투여한 뒤 효과와 안정성 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을 말한다.
셀트리온은 이미 노르웨이에서 진행한 스위칭임상에서 레미케이드와 효과 및 안정성에서 동등하다는 결과를 받았는데 이 점이 미국 스위칭임상을 통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램시마가 미국에서 상호대체성을 인정받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미국에서 거쳐야할 임상시험 과정은 노르웨이에서 진행한 스위칭임상과 조금 다르고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약품 투약이 ‘오리지널-바이오시밀러-오리지널-바이오시밀러’ 순서로 진행돼 모두 3회의 의약품 교체투여가 필요하다. 게다가 임상시험은 미국에서 허가된 약물만 사용해야 한다.
![]() |
||
▲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
램시마가 상호대체가능약제로 인정받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점도 문제다.
지도안이 올해 3월에 확정되더라도 법안이 마련되고 임상시험을 거치려면 최소 1~2년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램시마의 올해나 내년 판매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이다.
또 2년 후에는 램시마와 경쟁을 펼칠 바이오시밀러들이 대거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후발 바이오시밀러가 상호대체성을 인정받을 경우 램시마의 경쟁력이 약화될 위험도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미국식품의약국이 생각보다 빨리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을 바이오시밀러로 대체조제할 수 있는 지도안을 마련했다”며 “그러나 최종안은 내용이 변경되어 나올 수 있는 만큼 램시마에 미칠 영향을 확단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