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관영 중국중앙TV(CCTV)와 신화통신 등 현지 매체들은 현지시각으로 4일 중국을 방문 김 위원장이 이날 오후 시 주석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회담이 종료 됐는지는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김 위원장과 시 주석 양자 사이 정상회담은 이번이 세 번째이며 2019년 6월 이후 6년 만이다.
2019년 6월에는 시 주석이 평양을 방문했고 같은 해 1월에는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두 차례 정상회담이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중국의 80주년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지난 1일 평양에서 열차를 타고 출발해 지난 3일 시 주석과 함께 열병식을 참관했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당면 과제인 경제 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두 지도자는 회담을 열고 북중 관계와 공동의 관심사를 놓고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며 “중국은 북한과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교류와 협력을 긴밀히 해 국정운영 경험의 교류를 강화하고 협력 관계를 발전시킬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박재용 기자
관영 중국중앙TV(CCTV)와 신화통신 등 현지 매체들은 현지시각으로 4일 중국을 방문 김 위원장이 이날 오후 시 주석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회담이 종료 됐는지는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
김 위원장과 시 주석 양자 사이 정상회담은 이번이 세 번째이며 2019년 6월 이후 6년 만이다.
2019년 6월에는 시 주석이 평양을 방문했고 같은 해 1월에는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두 차례 정상회담이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중국의 80주년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지난 1일 평양에서 열차를 타고 출발해 지난 3일 시 주석과 함께 열병식을 참관했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당면 과제인 경제 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두 지도자는 회담을 열고 북중 관계와 공동의 관심사를 놓고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며 “중국은 북한과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교류와 협력을 긴밀히 해 국정운영 경험의 교류를 강화하고 협력 관계를 발전시킬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