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미 관세협상에서 한국 정부가 약속한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와 관련해 정부는 정책금융기관들이 프로젝트별로 단계적으로 투자를 진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3일 로이터 인터뷰에서 “3500억 달러를 한 번에 집행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 상황에 맞춰 맞춤형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고 4일 로이터가 보도했다. 
 
기재부 차관 이형일 "3500억 달러 미국 투자, 국책금융기관서 프로젝트별 단계적 투입"

▲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6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다만 국책은행인 한국산업은행(KDB)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국 정부는 7월30일 미국이 상호관세와 자동차 품목별 관세 등을 15%로 낮추는 대가로 3500억 달러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8월1일 “한미 조선 협력 펀드 1500억 달러는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며 우리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 프로젝트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조선 분야 이외에도 반도체, 원전, 2차 전지, 바이오 등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에 대한 대미 투자 펀드도 2천억 불 조성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대미투자 펀드의 구조와 운용방식을 두고는 당시 한미 당국은 엇갈린 발언을 내놨다. 

김 실장은 2천억 규모의 대미투자 펀드를 두고 "대출과 보증에 들어가는 돈이 가장 많을 것으로 보이고 직접투자의 비중은 매우 낮을 것"이라며 "2천억 달러라는 규모 역시 '한도' 개념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8월26일(현지시각) 미국 CNBC 인터뷰에서 “일본 자금, 한국 자금, 그리고 다른 나라들의 자금으로 국가 및 경제 안보 기금이 조성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그들은 미국의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기 위해 우리에게 자금을 댈 것”이라고 말했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