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제유가가 하락했다.
3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2.46%(1.62달러) 내린 배럴당 63.9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선물거래소의 11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2.23%(1.54달러) 낮아진 배럴당 67.6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7일(현지시각) OPEC+(석유수출국기구 및 기타 산유국 모임)의 10월 산유량 회의를 앞두고 하락했다”고 말했다.
OPEC+가 10월 증산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보도되며 과잉공급 우려가 높아진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경기 악화도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 연구원은 "최근 발표된 미국과 중국의 8월 체감경기지표가 기준선인 50을 하회했다"며 "미국의 드라이빙 시즌 종료도 앞두고 있어 유가가 공급 증가 이슈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인애 기자
3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2.46%(1.62달러) 내린 배럴당 63.9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미국 텍사스 요크타운의 유류저장고. <연합뉴스>
런던선물거래소의 11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2.23%(1.54달러) 낮아진 배럴당 67.6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는 7일(현지시각) OPEC+(석유수출국기구 및 기타 산유국 모임)의 10월 산유량 회의를 앞두고 하락했다”고 말했다.
OPEC+가 10월 증산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보도되며 과잉공급 우려가 높아진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경기 악화도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 연구원은 "최근 발표된 미국과 중국의 8월 체감경기지표가 기준선인 50을 하회했다"며 "미국의 드라이빙 시즌 종료도 앞두고 있어 유가가 공급 증가 이슈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