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7월 경상수지가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흑자를 지속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경상수지는 107억8천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2024년 같은 기간(90억5천만 달러)보다 많고 7월 기준 역대 최대 규모 흑자다.
경상수지는 국가 사이 상품, 서비스,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7월 경상수지를 세부항목별로 보면 수출과 수입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품수지는 102억7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1년 전 같은 기간(85억2천만 달러)보다 17억5천만 달러 늘었다.
수출이 597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7월보다 2.3% 증가했다. 수입은 495억1천만 달러로 0.9% 감소했다.
통관기준 수출은 608억1천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5.8% 늘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30.6%) 선박(114.0%)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전자제품(15.8%) 승용차(6.3%) 철강제품(0.6%) 등도 늘었다.
반면 정보통신기기(-15.3%) 가전제품(-12.4%) 자동차부품(-8.6%) 기계류·정밀기기(-8.1%) 화공품(-6.8%) 석유제품(-6.2%) 등 수출은 줄었다.
지역별 수출현황을 보면 동남아(17.2%) 유럽연합(8.7%) 중남미(4.2%) 미국(1.5%)는 증가했고 중동(-36.4%) 일본(-4.7%) 중국(-3.0%)으로 수출은 감소했다.
7월 통관기준 수입은 542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7%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자본재(6.2%) 소비재(4.2%) 수입은 증가했고 원자재(-4.7%)는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1억4천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적자 규모는 지난해 7월(-23억9천만 달러)보다 축소됐다.
이전소득수지도 2억9천만 달러 적자다. 2024년 7월(-1억1천만 달러)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29억5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한 값이다. 박혜린 기자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경상수지는 107억8천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 2025년 7월 경상수지가 107억8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사진은 부산항 모습. <연합뉴스>
2024년 같은 기간(90억5천만 달러)보다 많고 7월 기준 역대 최대 규모 흑자다.
경상수지는 국가 사이 상품, 서비스,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7월 경상수지를 세부항목별로 보면 수출과 수입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품수지는 102억7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1년 전 같은 기간(85억2천만 달러)보다 17억5천만 달러 늘었다.
수출이 597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7월보다 2.3% 증가했다. 수입은 495억1천만 달러로 0.9% 감소했다.
통관기준 수출은 608억1천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5.8% 늘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30.6%) 선박(114.0%)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전기·전자제품(15.8%) 승용차(6.3%) 철강제품(0.6%) 등도 늘었다.
반면 정보통신기기(-15.3%) 가전제품(-12.4%) 자동차부품(-8.6%) 기계류·정밀기기(-8.1%) 화공품(-6.8%) 석유제품(-6.2%) 등 수출은 줄었다.
지역별 수출현황을 보면 동남아(17.2%) 유럽연합(8.7%) 중남미(4.2%) 미국(1.5%)는 증가했고 중동(-36.4%) 일본(-4.7%) 중국(-3.0%)으로 수출은 감소했다.
7월 통관기준 수입은 542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7%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자본재(6.2%) 소비재(4.2%) 수입은 증가했고 원자재(-4.7%)는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1억4천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적자 규모는 지난해 7월(-23억9천만 달러)보다 축소됐다.
이전소득수지도 2억9천만 달러 적자다. 2024년 7월(-1억1천만 달러)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29억5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한 값이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