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3년 만에 분기 매출 100억 달러를 탈환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27일 국내 패널기업의 2025년 1분기 실적이 담긴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통계’를 발표했다.
2025년 1분기 한국 패널기업 매출은 지난해 1분기 대비 약 22% 증가한 100억 달러를 달성했다.
2022년 이후 3년 만에 분기 100억 달러 고지를 재탈환한 것이다.
매출 증가의 주요인으로는 인공지능(AI) 적용 제품 출시로 인한 저전력 등 고부가가치 수요 증가에 따른 스마트폰 시장 호조, IT제품 OLED 채택 확대, 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고객사의 디스플레이 패널 선주문 등이 꼽힌다.
OLED 매출은 81억98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보다 28.8% 증가했다.
중국 기업의 애플 공급망 진입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이 고부가가치 OLED 영역에 집중한 결과, 한국의 1분기 OLED 세계 시장 점유율은 30.6%로 지난해 대비 2.2%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하반기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도 성장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지난해 대비 2.9% 증가한 73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영업비밀 침해소송 예비 판결 승소 등 기술적 강점을 지닌 한국 기업에 우호적인 여건이 마련되고, 스마트폰 시장의 견조한 흐름과 IT, 자동차 등의 OLED 채택이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글로벌 OLED 시장은 지난해 대비 5.2% 증가한 323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전체 LCD 시장은 지난해 대비 1.0% 증가한 407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승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금번 호실적은 그동안 위축된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반등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다만 미국 관세조치를 이유로 글로벌 수요기업이 국내기업에 공급단가 인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고, 약달러 기조로 인한 디스플레이 기업의 실적 불확실성 증가되는 등의 불안 요인이 있는 만큼, 디스플레이산업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27일 국내 패널기업의 2025년 1분기 실적이 담긴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통계’를 발표했다.

▲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2025년 1분기 3년 만에 분기 매출 100억 달러를 달성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2025년 1분기 한국 패널기업 매출은 지난해 1분기 대비 약 22% 증가한 100억 달러를 달성했다.
2022년 이후 3년 만에 분기 100억 달러 고지를 재탈환한 것이다.
매출 증가의 주요인으로는 인공지능(AI) 적용 제품 출시로 인한 저전력 등 고부가가치 수요 증가에 따른 스마트폰 시장 호조, IT제품 OLED 채택 확대, 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고객사의 디스플레이 패널 선주문 등이 꼽힌다.
OLED 매출은 81억9800만 달러로, 지난해 1분기보다 28.8% 증가했다.
중국 기업의 애플 공급망 진입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이 고부가가치 OLED 영역에 집중한 결과, 한국의 1분기 OLED 세계 시장 점유율은 30.6%로 지난해 대비 2.2%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하반기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도 성장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지난해 대비 2.9% 증가한 73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영업비밀 침해소송 예비 판결 승소 등 기술적 강점을 지닌 한국 기업에 우호적인 여건이 마련되고, 스마트폰 시장의 견조한 흐름과 IT, 자동차 등의 OLED 채택이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글로벌 OLED 시장은 지난해 대비 5.2% 증가한 323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전체 LCD 시장은 지난해 대비 1.0% 증가한 407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승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금번 호실적은 그동안 위축된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반등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다만 미국 관세조치를 이유로 글로벌 수요기업이 국내기업에 공급단가 인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고, 약달러 기조로 인한 디스플레이 기업의 실적 불확실성 증가되는 등의 불안 요인이 있는 만큼, 디스플레이산업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