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 발효, 러시아산 원유 거래에 보복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월13일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인도의 러시아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50% 고율 관세 부과를 발효했다. 

이번 조치로 인도의 대미 수출 경쟁력이 크게 흔들릴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현지시각 27일 오전 0시1분을 기점으로 인도산 제품에 50% 상호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앞서 미국은 인도에 상호관세 26%를 4월부터 부과했다. 이후 양국은 5차례 협상을 진행했지만 타결로 이어지지 않았다. 

특히 인도가 미국산 농산물에 부과하는 관세 인하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하는 것을 놓고 양측이 이견을 보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50% 관세는 미국이 아시아 교역국에 부과한 세율 중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한다.

블룸버그는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해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한 관세를 부과했다”며 “워싱턴이 뉴델리와 수십 년 동안 쌓은 긴밀한 관계를 뒤엎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인도는 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해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이번 조치를 “불공정하고 부당하다”고 반발했다.

관세 인상으로 인도의 대미 수출 경쟁력이 중국과 베트남 등 경쟁국보다 뒤처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인도 신발업체 파리다슈즈의 이스라르 아흐메드 대표는 “50% 관세는 고객이 감당할 수 없다”며 “이미 발주가 방글라데시, 베트남으로 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 모디 정부는 섬유와 신발 등 관세 취약 업종을 지원하고 소비세 개편을 포함한 개혁을 추진해 경기 충격을 완화한다는 계획을 내놓고 있다.

시티그룹은 이번 관세가 인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6~0.8%포인트 낮출 수 있다고 추정했다. 

블룸버그는 관세 영향을 두고 “7월 이후 인도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투자 규모는 50억 달러(약 7조 원)”이라며 “루피화 수익률도 올해 들어 아시아 통화 가운데 가장 나쁘다”고 짚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