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한화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 투자, 건조 능력 연 20척으로 확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맨 오른쪽)이 현지시각으로 26일 미국 필라델피아주 소재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국가안보 다목적 선박’ 3호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호 명명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

[비즈니스포스트] 한화그룹은 현지시각 26일 미국 필라델피아주 소재 한화필리조선소에서 미국 해사청이 발주한 ‘국가안보 다목적 선박’ 3호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호 명명식을 열었다고 27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와 토드 영 인디애나주 상원의원, 메리 게이 스캔런 연방 하원의원 등이 참석했다. 

한화그룹에선 김동관 부회장,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마이클 쿨터(Michael Coulter)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글로벌부문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한화그룹 측은 이날 한국-미국 조선협력 ‘마스가’ 프로젝트를 위해 한화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약 7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관세 협상 결과물인 조선산업 협력 투자펀드 1500억 달러가 주요 투자 재원이다. 

향후 한화필리조선소에 도크 2개, 안벽 3개 등을 추가로 확보하고, 약 12만평 규모의 블록 생산기지를 세운다.

이를 통해 현재 연간 1~1.5척 수준인 선박 건조능력을 20척까지 확대한다.

또 한화오션의 자동화 설비, 스마트 야드, 안전 시스템 등도 한화필리조선소에 도입해 LNG운반선을 만들고 함정 블록 및 모듈 공급, 더 나아가 함정 건조도 추진한다. 

투자 재원으로 한미 관세 협상의 결과인 1500억 달러 규모 조선산업 협력 투자펀드가 활용될 예정이다. 이 펀드는 직접 투자 외 보증·대출 형태로 마련되며 정책금융 기관들이 주도한다.

같은 날 한화오션의 손자회사 한화해운(한화쉬핑)은 한화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 10척과 LNG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한화필리조선소로서는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한 첫 수주 계약으로 중형 유조선 10척은 모두 한화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하며 첫 선박은 2029년 초 인도될 예정이다. LNG운반선은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와 공동 건조한다.

한화그룹 측은 “한화해운의 한화필리조선소 대규모 발주는 미국산 에너지를 수출할 때 미국 선박 사용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미국 통상법 301조 및 존스법 개정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라고 강조했다.

명명식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은 한화필리조선소에서 골리앗크레인과 도크를 둘러본 뒤 방명록에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필리조선소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합니다”라고 서명했다.
  
김동관 부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하게 만든 조선산업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이 보여준 리더십에 깊이 감사하다”며 “명명식은 한미 양국이 함께 조선산업을 재건하고, 선박 건조 역량을 확장하며, 미래 산업을 이끌 숙련된 인재 양성에 대한 투자가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밝혔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