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은행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금융 지원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 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2021년 환경부가 제정한 녹색분류체계다. 온실가스 감축·자원순환 등 기업 활동이 환경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우리은행은 이번 AI시스템에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최신형 검색증강생성(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적용해 K-택소노미 전문 상담 AI를 독자 개발했다. 사용자가 핵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K-택소노미 대상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검색증강생성은 검색을 기반으로 정확한 응답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AI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우리은행은 높은 정확도를 기반으로 여신상담 활용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시스템 도입에 따라 ESG금융 지원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AI 상담 시스템 도입으로 녹색금융 경쟁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전환(AX) 혁신을 통해 ESG 금융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 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 우리은행이 ‘K-택소노미 전문 상담 AI’를 도입했다. <우리은행>
K-택소노미(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2021년 환경부가 제정한 녹색분류체계다. 온실가스 감축·자원순환 등 기업 활동이 환경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우리은행은 이번 AI시스템에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최신형 검색증강생성(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적용해 K-택소노미 전문 상담 AI를 독자 개발했다. 사용자가 핵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K-택소노미 대상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검색증강생성은 검색을 기반으로 정확한 응답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AI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우리은행은 높은 정확도를 기반으로 여신상담 활용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시스템 도입에 따라 ESG금융 지원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AI 상담 시스템 도입으로 녹색금융 경쟁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전환(AX) 혁신을 통해 ESG 금융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