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성과연봉제 도입과 관련된 시중은행들의 이사회 의결을 원천무효로 규정하고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즉각 사퇴를 요구했다.
야당 의원들도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성과연봉제를 일방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 하다고 비판했다.
![]() |
||
▲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 |
기자회견에는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이학영, 박용진, 정재호, 제윤경 의원과 국민의당 채이배 의원도 함께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SH수협은행 등 은행 8곳은 12일 이사회를 열어 성과연봉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노조는 여러 은행이 같은날 한꺼번에 성과연봉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데는 금융위원회의 일방적 지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위원회가 시중은행들에게 비밀리에 성과연봉제를 기습적으로 도입할 것을 지시했다”며 “당시 은행장 가운데 일부가 반대했음에도 무조건 처리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성과연봉제 도입 무효와 함께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즉각 사퇴운동도 추진하기로 했다.
그는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요하며 공기업의 불법적 이사회 의결을 주도했던 임 위원장이 국정혼란을 틈타 민간은행까지도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도록 강압했다”며 “임 위원장이 취임한 뒤 졸속적인 정책을 추진해 국내 금융산업은 더욱 낙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야당 의원들도 시중은행들의 성과연봉제 관련 이사회 의결을 비판했다.
채이배 국민의당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은 정부가 독단적으로 추진해 온 국정과제의 전면 재검토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지금과 같은 엄중한 시점에 ‘박근혜표’ 정책은 당연히 재검토 대상이며 추진되더라도 여야정 협의를 거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