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달 취업자가 한 달만에 다시 증가했지만 건설업에서 집계 이래 최대 규모로 줄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도 큰 폭으로 줄면서 고용률 하락 폭도 커졌다.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서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천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천 명 줄어들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취업자가 16만9천 명 줄며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 경기 불황으로 9개월째 줄고 있으며 감소 폭도 확대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도 5만6천 명 줄었다. 반도체 수출 호황에도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째 감소세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1만9천 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8천 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청년층 취업자는 21만8천 명 줄며 2021년 1월(-31만4천 명)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15세이상 고용률은 61.0%로 1년 전과 같았다. 청년층 고용률은 44.8%로 1.5%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만1천 명 늘어난 108만3천 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다. 조성근 기자
청년층(15~29세) 취업자도 큰 폭으로 줄면서 고용률 하락 폭도 커졌다.

▲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5년 1월 산업별 취업자 현황. <통계청>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서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5천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천 명 줄어들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취업자가 16만9천 명 줄며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 경기 불황으로 9개월째 줄고 있으며 감소 폭도 확대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도 5만6천 명 줄었다. 반도체 수출 호황에도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째 감소세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1만9천 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8천 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청년층 취업자는 21만8천 명 줄며 2021년 1월(-31만4천 명)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15세이상 고용률은 61.0%로 1년 전과 같았다. 청년층 고용률은 44.8%로 1.5%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는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늘면서 1년 전보다 1만1천 명 늘어난 108만3천 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