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헬로비전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유료방송 시장에서 케이블TV 사업자의 입지 축소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8일 LG헬로비전의 목표주가를 기존 5300원에서 3900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도 매수(BUY)에서 중립(HOLD)로 낮춰 잡았다.
7일 LG헬로비전 주가는 34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 연구원은 “유료 방송 시장에서 케이블TV 사업자의 입지는 중장기적으로 축소가 불가피하다”며 “LG헬로비전은 LG유플러스에 인수된 뒤 두 회사 사이 콘텐츠 부문에서 시너지가 나고 있지만 충분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LG헬로비전은 렌탈과 전기차 충전소 등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본업인 TV사업 부문의 부진으로 수익성 개선 시기는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LG헬로비전은 2023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영업수익) 2887억 원, 영업이익 91억 원을 거뒀다. 2022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1.4%, 영업이익은 49.6% 감소했다.
앞서 LG헬로비전은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지난해 3분기에 반영된 교육용 스마트 단말 판매 등 일회성 수익이 높아 기저효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장우 기자
유료방송 시장에서 케이블TV 사업자의 입지 축소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 유료방송 시장에서 케이블TV의 입지 축소로 LG헬로비전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8일 LG헬로비전의 목표주가를 기존 5300원에서 3900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도 매수(BUY)에서 중립(HOLD)로 낮춰 잡았다.
7일 LG헬로비전 주가는 34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 연구원은 “유료 방송 시장에서 케이블TV 사업자의 입지는 중장기적으로 축소가 불가피하다”며 “LG헬로비전은 LG유플러스에 인수된 뒤 두 회사 사이 콘텐츠 부문에서 시너지가 나고 있지만 충분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LG헬로비전은 렌탈과 전기차 충전소 등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본업인 TV사업 부문의 부진으로 수익성 개선 시기는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LG헬로비전은 2023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영업수익) 2887억 원, 영업이익 91억 원을 거뒀다. 2022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1.4%, 영업이익은 49.6% 감소했다.
앞서 LG헬로비전은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지난해 3분기에 반영된 교육용 스마트 단말 판매 등 일회성 수익이 높아 기저효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