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HMM이 3분기 시장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26일 HMM의 올해 3분기 실적을 매출 2조1620억 원, 영업이익 1740억 원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57.7% 영업이익은 93.3% 각각 줄어든 것이다.
올해 2분기와 비교해 유럽과 미주지역 노선의 운임 수준이 엇갈렸다.
지역별 노선 운임을 살펴보면 유럽은 1TEU(20피트 규격 컨테이너) 당 775.7달러로 2분기보다 8.5% 하락했고 북미 서안은 1FEU(40피트 규격 컨테이너)당 1883.9달러로 2분기보다 32.7% 상승했다.
양 연구원은 “미주지역의 운임 강세는 3대 해운 동맹을 중심으로 공급 조절을 통한 운임 방어와 유럽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경기 펀더멘털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해운분석기관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23일 선복량 기준 유럽항로의 공급은 4.3% 늘었으나 미주항로 공급은 28.3% 감소했다.
4분기에도 운임 수준에도 긍정적인 변수가 많을 것으로 봤다.
양 연구원은 “10월 중국 국경절 연휴 기간 블랭크세일링(임시결항)을 통한 공급 조절이 현시점에도 유지돼고 있다”며 “11월 초 선사들의 운임일괄인상(GRI)가 성공할 가능성이 높겠다”고 예상했다.
이날 HMM 목표주가 1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는 유지됐다. HMM 주가는 25일 1만48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양 연구원은 “목표주가는 11월 상장 예정인 신주 2억 주를 감안한 2023년도 추정 주당순자산가치(BPS) 3만2235원에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R) 0.55배를 적용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신재희 기자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26일 HMM의 올해 3분기 실적을 매출 2조1620억 원, 영업이익 1740억 원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57.7% 영업이익은 93.3% 각각 줄어든 것이다.
▲ HMM이 3분기 시장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는 추정이 나왔다.
올해 2분기와 비교해 유럽과 미주지역 노선의 운임 수준이 엇갈렸다.
지역별 노선 운임을 살펴보면 유럽은 1TEU(20피트 규격 컨테이너) 당 775.7달러로 2분기보다 8.5% 하락했고 북미 서안은 1FEU(40피트 규격 컨테이너)당 1883.9달러로 2분기보다 32.7% 상승했다.
양 연구원은 “미주지역의 운임 강세는 3대 해운 동맹을 중심으로 공급 조절을 통한 운임 방어와 유럽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경기 펀더멘털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해운분석기관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23일 선복량 기준 유럽항로의 공급은 4.3% 늘었으나 미주항로 공급은 28.3% 감소했다.
4분기에도 운임 수준에도 긍정적인 변수가 많을 것으로 봤다.
양 연구원은 “10월 중국 국경절 연휴 기간 블랭크세일링(임시결항)을 통한 공급 조절이 현시점에도 유지돼고 있다”며 “11월 초 선사들의 운임일괄인상(GRI)가 성공할 가능성이 높겠다”고 예상했다.
이날 HMM 목표주가 1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는 유지됐다. HMM 주가는 25일 1만48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양 연구원은 “목표주가는 11월 상장 예정인 신주 2억 주를 감안한 2023년도 추정 주당순자산가치(BPS) 3만2235원에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R) 0.55배를 적용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