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이 광복절 특별복권 2달 만에 다시 사법 리스크에 마주했다.

이 전 회장은 복권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는 포부를 내보이며 경영 활동을 다시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다졌으나 이번 경찰 수사로 경영 복귀가 다시 늦춰질 수도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태광그룹 이호진 복권 2달 만에 비자금 조성 혐의 압수수색, 경영복귀 멀어져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사진)이 24일 태광그룹 계열사를 동원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혐의로 경찰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연합뉴스>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24일 오전 이 전 회장의 자택과 태광그룹 경영협의회 사무실, 경기도 용인의 태광CC를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이 전 회장이 태광그룹 계열사를 동원해 20억 원 이상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밝히기 위해 진행됐다.

경찰은 이 전 회장이 직원들의 계좌로 허위 급여를 지급하도록 해서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보고 최근 이 전 회장을 피의자로 입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전 회장은 과거에도 횡령과 배임, 법인세 포탈 혐의로 처벌을 받았었다. 이같은 혐의로 2019년 징역 3년을 확정 받은 뒤 2021년 10월 만기 출소했다.

이에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형이 끝난 뒤 5년 동안 임원으로 활동할 수 없다는 규정에 의해 이 전 회장은 경영에 복귀할 수 없었다.

하지만 올해 정부가 이 전 회장을 ‘경제위기 극복 및 국가경쟁력 제고’라는 이유로 특별복권 대상자에 선정하면서 경영 복귀를 위한 길이 열렸다.

당시 이 전 회장도 태광그룹을 통해 “지속적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로 국가 발전에 힘을 보태고 경제 활성화 이바지로 국민 여러분과 정부의 기대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경찰 수사로 이 전 회장이 태광그룹 경영 현안을 직접 챙기는 경영 활동을 본격화하기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