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8월 통화량이 정기예적금 증가에 영향을 받아 세 달 연속 증가했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2023년 8월 광의 통화량(M2)은 3829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7월보다 0.2%(8조8천억 원) 늘어 세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광의 통화량은 현금 통화를 포함해 예적금 등 금융기관의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정기예적금은 7월보다 7조7천억 원, 시장형상품은 4조3천억 원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은 7월 대비 2조9천억 원 감소했고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7월과 비교해 2조6천억 원 줄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업은 9조 원, 기타금융기관은 3조6천억 원, 기타부문은 1조6천억 원 각각 증가했다. 반면 가계와 비영리단체는 2천억 원이 감소했다. 조혜경 기자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2023년 8월 광의 통화량(M2)은 3829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7월보다 0.2%(8조8천억 원) 늘어 세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 8월 시중에 풀린 통화량이 정기예적금 증가에 영향을 받아 세 달 연속 늘어난 것으로 한국은행이 집계했다.
광의 통화량은 현금 통화를 포함해 예적금 등 금융기관의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정기예적금은 7월보다 7조7천억 원, 시장형상품은 4조3천억 원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은 7월 대비 2조9천억 원 감소했고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7월과 비교해 2조6천억 원 줄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업은 9조 원, 기타금융기관은 3조6천억 원, 기타부문은 1조6천억 원 각각 증가했다. 반면 가계와 비영리단체는 2천억 원이 감소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