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우 팬택 사장이 한숨을 돌렸다. 이동통신사들이 채권상환 일자를 하루 앞두고 채권 회수를 2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팬택은 법정관리가 아닌 워크아웃으로 경영정상화 절차를 밟을 수 있게 됐다.
![]() |
||
▲ 이준우 팬택 사장 |
이로써 이동통신 3사 모두 보유하고 있는 팬택 상거래채권 전액을 유예하기로 했다. 총 채권 규모는 1531억 원이다.
팬택은 “이동통신 3사의 상환유예 결정에 감사한다”며 “앞으로 경영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통신 3사가 채권 상환유예 결정을 내린 데에 팬택 정상화를 위해 관계당국과 이동통신사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여론의 압박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팬택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정치권에서도 팬택 정상화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22일 팬택 김포공장을 방문해 “정부, 채권단, 이동통신 3사가 팬택과 머리를 맞대고 협력해 팬택 경영정상화를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팬택은 회사를 살릴 획기적 비전을 제시하고 정부와 유관기관은 적극적 중재와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우 의원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이다.
팬택이 상거래 채권의 만기도래 위기를 넘기는 했지만 기사회생이 완전히 결정된 것은 아니다. 팬택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려면 채권단의 합의를 거쳐야 한다.
지난 4일 채권단이 팬택 경영정상화 방안을 채택하기는 했지만 이는 이통사들의 출자전환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때문에 채권단이 출자전환이 아닌 상환유예를 놓고 다시 팬택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해 동의해야 한다.
팬택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조만간 채권단 회의를 열어 이통사들의 상환유예안을 두고 팬택의 워크아웃을 다시 논의한다.
산업은행과 우리은행 등 주요 채권단이 팬택 워크아웃에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팬택의 워크아웃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워크아웃이 가결돼도 신규자금 투입은 어려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