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정부가 한한령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압박을 2017년 이후 본격화하면서 현대차와 기아, 삼성전자 등 주요 기업들이 지난 6년간 현지에서 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 중국법인의 중국법인은 매출이 15조 이상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중국 생산법인 실적을 공시한 113곳을 대상으로 2016년과 2022년 사이 6년 간 매출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113곳의 지난해 합산 매출은 전체 111조424억 원으로 한한령 이전인 2016년보다 13.1%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중국 매출이 급증한 국내 배터리와 반도체 관련 기업을 제외하면 국내 대기업의 중국 생산법인의 매출은 2016년 117조2300억 원에서 2022년 73조4485억 원으로 38% 가량 줄었다.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현대차 중국법인인 ‘북경현대기차’로 나타났다. 북경현대기차의 매출은 2016년 20조1287억 원에서 2022년 4조9003억 원으로 75.7%(15조2284억 원) 급감했다.
기아의 중국법인 매출도 같은 기간 9조7996억 원에서 1조8835억 원으로 80% 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 스마트폰과 가전부문의 고전으로 2016년 17조1236억 원이었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2022년 9조6798억 원으로 43.5% 가량 감소했다. 조장우 기자
특히 현대차 중국법인의 중국법인은 매출이 15조 이상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 현대차와 기아의 중국 생산법인이 한한령 등 한국기업에 대한 중국정부의 압박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현대차와 기아의 로고 모습.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중국 생산법인 실적을 공시한 113곳을 대상으로 2016년과 2022년 사이 6년 간 매출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113곳의 지난해 합산 매출은 전체 111조424억 원으로 한한령 이전인 2016년보다 13.1%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중국 매출이 급증한 국내 배터리와 반도체 관련 기업을 제외하면 국내 대기업의 중국 생산법인의 매출은 2016년 117조2300억 원에서 2022년 73조4485억 원으로 38% 가량 줄었다.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현대차 중국법인인 ‘북경현대기차’로 나타났다. 북경현대기차의 매출은 2016년 20조1287억 원에서 2022년 4조9003억 원으로 75.7%(15조2284억 원) 급감했다.
기아의 중국법인 매출도 같은 기간 9조7996억 원에서 1조8835억 원으로 80% 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 스마트폰과 가전부문의 고전으로 2016년 17조1236억 원이었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2022년 9조6798억 원으로 43.5% 가량 감소했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