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기업이익 전망치 상향이 이끄는 현재 코스피 반등세는 유효하며 반도체 등 IT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이익 전망치 상향이 주도하는 한국 주식시장 반등은 ‘진짜’다”며 “기업이익 턴어라운드 국면에서 반도체 등 IT를 중심으로 유틸리티 등에서 초과수익을 모색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고 짚었다.
6월2일 2600선을 돌파한 코스피지수는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2600선에 머무르며 안착을 시도하고 있다. 주로 외국인들이 올해 말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한국 제조업 경기 회복을 미리 내다보고 순매수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가운데 2015년 이후 코스피 120일 이동평균선과 12개월 선행 EPS(주당순이익) 사이 상관계수는 0.8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돼 한국 주식시장은 기업이익 방향성과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연구원은 이에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가 추가로 상승할 수 있다면 하반기 주식시장도 같은 흐름일 것이다”고 말했다.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는 올해 4월 바닥을 다진 뒤 현재 11% 상승한 상태다. 과거 사례를 보면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는 10% 반등을 기준으로 상승과 하락의 분기점에 서는데 이번 회복세는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노 연구원은 “올해 기업들의 3분기 이익 증가율 전망이 1.5%에서 9.7%로 상향됐으며 4분기 전망도 17.9%에서 83.9%로 급증했다”며 “내년 이익 증가율 전망치도 27%에서 53.8%로 올라 올해 말 12개월 선행 EPS는 지금보다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말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는 상단이 220포인트 정도로 예상되고 있으나 240포인트까지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전체 이익 증가율이 2분기를 저점으로 3분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익 전망 반등폭이 큰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반도체 등 IT 업종의 내년 이익 증가율이 49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 연구원은 “올해와 내년 이익 전망에 따르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를 핵심으로 둔 상황에서 유틸리티, 조선, 화학에서 초과수익을 노리는 전략이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이익 전망치 상향이 주도하는 한국 주식시장 반등은 ‘진짜’다”며 “기업이익 턴어라운드 국면에서 반도체 등 IT를 중심으로 유틸리티 등에서 초과수익을 모색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고 짚었다.

▲ 기업이익 전망치 상향으로 코스피지수의 반등세가 유효한 가운데 반도체 등 IT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6월2일 2600선을 돌파한 코스피지수는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2600선에 머무르며 안착을 시도하고 있다. 주로 외국인들이 올해 말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한국 제조업 경기 회복을 미리 내다보고 순매수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가운데 2015년 이후 코스피 120일 이동평균선과 12개월 선행 EPS(주당순이익) 사이 상관계수는 0.8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돼 한국 주식시장은 기업이익 방향성과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연구원은 이에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가 추가로 상승할 수 있다면 하반기 주식시장도 같은 흐름일 것이다”고 말했다.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는 올해 4월 바닥을 다진 뒤 현재 11% 상승한 상태다. 과거 사례를 보면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는 10% 반등을 기준으로 상승과 하락의 분기점에 서는데 이번 회복세는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노 연구원은 “올해 기업들의 3분기 이익 증가율 전망이 1.5%에서 9.7%로 상향됐으며 4분기 전망도 17.9%에서 83.9%로 급증했다”며 “내년 이익 증가율 전망치도 27%에서 53.8%로 올라 올해 말 12개월 선행 EPS는 지금보다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말 코스피 12개월 선행 EPS는 상단이 220포인트 정도로 예상되고 있으나 240포인트까지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전체 이익 증가율이 2분기를 저점으로 3분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익 전망 반등폭이 큰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반도체 등 IT 업종의 내년 이익 증가율이 49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 연구원은 “올해와 내년 이익 전망에 따르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를 핵심으로 둔 상황에서 유틸리티, 조선, 화학에서 초과수익을 노리는 전략이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