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을 방문해 2차전지산업을 향한 지원을 약속했다. 

이 장관은 25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을 방문해, 2차전지 산업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추진과제들을 점검했다.
 
산업부 배터리·소재 5대 수출품목으로 육성, 이창양  "2차전지 최강국 되도록"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을 방문해 2차전지산업을 향한 지원을 약속했다. 사진은 25일 이 장관이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에서 생산시설을 둘러보는 모습. <산업통상자원부>


이 장관의 이번 방문에 동석한 황경인 산업연구원 박사는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가 5년 내 우리의 5대 수출 품목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양극재 수출액은 지난해 전년 대비 2.6배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2배 이상 가파르게 성장 중이며 배터리도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올해 수출액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산업부는 배터리 및 소재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수출품목 고도화 △수출품목 다변화 △수출저변 확대를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기술개발과 인프라 투자에 3천억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수출품목 고도화를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니켈함량 95%이상), 실리콘 음극재(실리콘 함량 20%이상) 등을 개발한다. 

수출품목 다변화를 위해 LFP(리튬인산철)배터리, 나트륨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레독스 전지 등 삼원계외 배터리와 양극재도 개발할 계획을 세웠다. 

글로벌 점유율이 35%에 달하는 LFP배터리에 대한 연구개발(R&D) 과제를 지난달 착수한 데 이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트륨 배터리도 신규과제를 기획해 관련 부처와 협의하기로 했다. 

수출 소재·부품·장비 기업 저변확대를 위해서는 소재·부품·장비 기업과 배터리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형 R&D 과제를 확대하고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개발한 소재 등을 실제 배터리에 실증해 볼 수 있는 공용 인프라인 ‘배터리 파크’도 전국 5곳에 구축하기로 했다.

이창양 장관은 “2차전지 산업이 명실상부한 세계 최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산업계의 목소리를 더 경청하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