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래에셋생명이 건강보험 판매 확대로 1분기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미래에셋생명은 22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올해 1분기 별도기준으로 순이익 1007억 원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78.7% 증가했다.
미래에셋생명은 “이번 실적을 살펴보면 수익성 중심의 영업 포트폴리오의 영향이 크다”며 “고수익 건강보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했다”고 설명했다.
3월 말 기준으로 CSM(계약서비스마진)은 2조70억 원으로 나타났다. CSM은 미래에 보험사의 미래 이익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다.
자본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K-ICS(신지급여력비율)는 220%로 나타났다.
변액보험 적립금은 지난해 말 대비 6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배분펀드 MVP60펀드의 누적 수익률은 46%로 나타났다.
배수동 미래에셋생명 경영혁신본부장은 “하반기에는 금융권의 고금리 저축 및 예금 상품이 줄어들어 변액투자형 상품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 본부장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영업과 판매 프로세스 개선과 규모의 경제 확보를 통해 질적, 양적 측면에서 모두 괄목할만한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
미래에셋생명은 22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올해 1분기 별도기준으로 순이익 1007억 원을 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78.7% 증가했다.

▲ 미래에셋생명이 건강보험 판매 확대로 1분기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미래에셋생명은 “이번 실적을 살펴보면 수익성 중심의 영업 포트폴리오의 영향이 크다”며 “고수익 건강보험 상품을 주력으로 판매했다”고 설명했다.
3월 말 기준으로 CSM(계약서비스마진)은 2조70억 원으로 나타났다. CSM은 미래에 보험사의 미래 이익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다.
자본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K-ICS(신지급여력비율)는 220%로 나타났다.
변액보험 적립금은 지난해 말 대비 6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배분펀드 MVP60펀드의 누적 수익률은 46%로 나타났다.
배수동 미래에셋생명 경영혁신본부장은 “하반기에는 금융권의 고금리 저축 및 예금 상품이 줄어들어 변액투자형 상품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 본부장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영업과 판매 프로세스 개선과 규모의 경제 확보를 통해 질적, 양적 측면에서 모두 괄목할만한 성장을 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