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대한통운이 판가인상 및 원가구조 혁신에 힘입어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CJ대한통운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8078억 원, 영업이익 990억 원, 순이익 484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30.9%, 순이익은 53.6% 각각 늘어난 것이다.
CJ대한통운은 “판가인상과 원가구조 혁신 등 수익성 중심 경영이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택배·이커머스 부문은 올해 1분기 매출 9108억 원, 영업이익 49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75.8% 각각 늘어난 것이다.
CJ대한통운은 “특히 택배·이커머스 부문이 통합브랜드 ‘오네’를 론칭하고 도착보장 등 고객 맞춤형 배송서비스 다양화로 물량이 늘고 판가인상 효과가 더해지면서 실적이 대폭 늘었다”고 분석했다.
CL(계약물류) 부문은 올해 1분기 매출 6794억 원, 영업이익 350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5.0%, 영업이익은 17.9% 각각 늘어난 것이다. CL부문은 항만운송(P&D), 창고입출고(P&D) 사업부로 구성됐다.
해외운송과 포워딩 사업을 하고 있는 글로벌 부문은 올해 1분기 매출 1조361억 원, 영업이익 14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6.8%, 영업이익은 18.0% 각각 감소했다.
CJ대한통운은 “압도적 물류 역량에 기반해 택배·이커머스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모든 사업 영역에서 기술 기반의 구조개선을 통해 재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CJ대한통운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8078억 원, 영업이익 990억 원, 순이익 484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 CJ대한통운이 판가인상 및 원가구조 혁신에 힘입어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30.9%, 순이익은 53.6% 각각 늘어난 것이다.
CJ대한통운은 “판가인상과 원가구조 혁신 등 수익성 중심 경영이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택배·이커머스 부문은 올해 1분기 매출 9108억 원, 영업이익 493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75.8% 각각 늘어난 것이다.
CJ대한통운은 “특히 택배·이커머스 부문이 통합브랜드 ‘오네’를 론칭하고 도착보장 등 고객 맞춤형 배송서비스 다양화로 물량이 늘고 판가인상 효과가 더해지면서 실적이 대폭 늘었다”고 분석했다.
CL(계약물류) 부문은 올해 1분기 매출 6794억 원, 영업이익 350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5.0%, 영업이익은 17.9% 각각 늘어난 것이다. CL부문은 항만운송(P&D), 창고입출고(P&D) 사업부로 구성됐다.
해외운송과 포워딩 사업을 하고 있는 글로벌 부문은 올해 1분기 매출 1조361억 원, 영업이익 14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6.8%, 영업이익은 18.0% 각각 감소했다.
CJ대한통운은 “압도적 물류 역량에 기반해 택배·이커머스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모든 사업 영역에서 기술 기반의 구조개선을 통해 재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