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이프릴바이오가 자체 바이오의약품 플랫폼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약물의 임상이 본격화하고 있어 기업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4일 에이프릴바이오 목표주가 4만4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새로 제시했다.
 
한투증권 "에이프릴바이오 기업가치 높아진다, 플랫폼기술 가치 상향"

▲ 한국투자증권은 24일 에이프릴바이오가 플랫폼기술을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개선할 것으로 예상했다. 에이프릴바이오 홈페이지.


직전 거래일인 21일 에이프릴바이오 주가는 2만3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에이프릴바이오는 바이오의약품 반감기를 개선하는 플랫폼기술 ‘SAFA’를 보유하고 있다. SAFA가 적용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A1’은 비임상 단계에서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에 5400억 원 규모로 기술수출됐다. 올해 6월 임상1상 종료가 예정됐다.

위 연구원은 APB-A1과 비슷한 경쟁 후보물질인 바이오젠의 ‘다피로리주맙 페골’, 호라이즌테라퓨틱스의 ‘다조달리펩’이 각각 임상2상에서 효능을 확인한 점을 들어 APB-A1의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에이프릴바이오가 APB-A1 기술수출에 관한 잔여 기술료(마일스톤) 약 5180억 원을 마저 수령할 공산이 크다고 진단했다.

위 연구원은 “올해 SAFA 플랫폼기술 가치는 한 단계 상향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반감기 개선 효능이 임상적으로 검증되면 이후 기술수출에서 선급금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염증질환 치료제 ‘APB-R3’도 개발하는 중이다. 올해 8월 임상 종료를 바라보고 있다. 

APB-R3은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성인 발병 스틸병, 아토피성 피부염 등 다양한 질병으로 적응증을 확장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위 연구원은 “적응증 확장 여력이 넓은 후보물질은 기술수출 전체 규모에서 선급금 비중이 클 수밖에 없다”며 “에이프릴바이오는 올해 안에 APB-R3에 대한 기술수출을 타진할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