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국내은행들의 비이자이익이 52.0% 줄었다.
금융감독원은 16일 발표한 ‘국내 은행 영업 실적’에 따르면 국내은행들은 지난해 3조4천억 원의 비이자이익을 거뒀다. 이는 2021년보다 52.0% 줄어든 것이다.
비이자이익 가운데 유가증권 손익이 1조9천억 원 가량 감소한 가운데 기타영업이익이 2조5천억 원 줄었고 수수료 이익도 3천억 원 감소했다.
반면 이자이익은 21.6% 늘어난 55조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은 1.62%로 2021년보다 0.17%포인트 증가했다.
순이자마진은 금융회사의 자산 운용수익에서 자금 조달 비용을 뺀 뒤 운용하는 자산 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국내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이에 따라 2021년보다 9.6% 늘어난 18조5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비용 가운데 판매비와 관리비는 26조3천억 원으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다만 대손비용은 2021년보다 55.1% 늘어난 6조3천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대손충당금 산정 방식이 바뀌면서 신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1조9천억 원 추가된 영향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이를 두고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현황을 계속해서 점검하겠다”며 “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들은 자본확충을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금융감독원은 16일 발표한 ‘국내 은행 영업 실적’에 따르면 국내은행들은 지난해 3조4천억 원의 비이자이익을 거뒀다. 이는 2021년보다 52.0% 줄어든 것이다.

▲ 지난해 국내은행들의 비이자이익이 52.0% 줄었다고 금융감독원이 집계했다.
비이자이익 가운데 유가증권 손익이 1조9천억 원 가량 감소한 가운데 기타영업이익이 2조5천억 원 줄었고 수수료 이익도 3천억 원 감소했다.
반면 이자이익은 21.6% 늘어난 55조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은 1.62%로 2021년보다 0.17%포인트 증가했다.
순이자마진은 금융회사의 자산 운용수익에서 자금 조달 비용을 뺀 뒤 운용하는 자산 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국내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이에 따라 2021년보다 9.6% 늘어난 18조5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비용 가운데 판매비와 관리비는 26조3천억 원으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다만 대손비용은 2021년보다 55.1% 늘어난 6조3천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대손충당금 산정 방식이 바뀌면서 신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1조9천억 원 추가된 영향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이를 두고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현황을 계속해서 점검하겠다”며 “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들은 자본확충을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