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이 전기·가스요금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 장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가스공사 미수금이 올해 1월 10조 원에서 12조 원까지 불어날 우려가 있다”며 “과거에 (가스요금) 인상요인을 억눌렀던 점을 고려할 때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전기·가스요금 동결 어렵다는 산업장관 이창양, 윤석열 속도조절론엔 공감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월20일 전기·가스요금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만 속도조절은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췄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월16일 오전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차 한-중동 경제협력 민관기관추진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인상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면서 전기·가스요금 인상 폭과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장관은 “급증하는 국민 부담에 대응해 전기·가스요금 인상 속도를 조절하자는 대통령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국제 에너지 가격 동향, 한국전력·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의 적자와 미수금이 늘어나는 상태, 물가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앞서 언급한) 지표들의 움직임을 고려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요금을 운용하자는 뜻으로 받아들여 달라”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국제 에너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에너지 수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꼽았다.

이 장관은 “최근 (에너지) 가격이 단기적으로 내려갔는데 유럽의 날씨가 따뜻해 에너지 수요가 줄고 중국을 비롯한 전세계 경기가 주춤하자 에너지 소비가 둔화됐기 때문”이라며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글로벌 전쟁 영향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은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이 있다”고 바라봤다.

에너지 공기업의 적자가 앞으로도 누적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장관은 “전기는 원가 회수율이 70% 초반 정도, 가스는 60%다 보니 시간이 갈수록 미수금과 적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미수금과 적자가 늘어나는 정도를 면밀히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