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글로비스가 완성차업체의 생산회복에 힘입어 올해 외형확대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현대글로비스 목표주가 24만 원, 투자의견 '매수'를 각각 유지했다.
9일 현대글로비스 주가는 16만5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유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추산된다"며 "완성차 생산·판매 물량이 본격 증가하며 해외물류·PCTC·CKD(완전분해제품)사업 중심으로 이익호조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현대글로비스는 2022년 4분기 매출 7조777억 원, 영업이익 4784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1년 4분기보다 매출은 21.1%, 영업이익은 47.1% 증가하는 것이다.
현대자동차 그룹 및 주요 완성차업체들의 생산회복이 본격화하며 현대글로비스의 국내·외 물류부문과 PCTC 사업은 사상 최대 매출을 새로 쓴 것으로 추정됐다.
높은 마진을 내는 PCTC사업부는 용선료가 지난해 4분기에도 상승세를 지속하며 이익호조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글로비스의 물류 및 CKD사업은 완성차 생산·판매에 영향을 받는 구조인데 올해 현대차·기아는 각각 지난해보다 판매량을 9.5%, 10.5% 늘릴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생산량은 판매량을 넘어서며 현대글로비스의 외형확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대차·기아가 미국에서 추진하는 전기차(EV) 신공장 건설은 물류·CKD 사업에서 장기 성장동력을 가시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이 가시화하며 이르면 올해 말부터 현대차그룹의 미국내 EV양산이 본격화하며 현대글로비스의 지속적 외형확대 배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원석 기자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현대글로비스 목표주가 24만 원, 투자의견 '매수'를 각각 유지했다.

▲ 현대글로비스가 완성차업체의 생산회복에 힘입어 올해 외형확대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은 현대글로비스 자동차운반선(PCTC) '글로벌 센추리'호. <현대글로비스>
9일 현대글로비스 주가는 16만5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유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추산된다"며 "완성차 생산·판매 물량이 본격 증가하며 해외물류·PCTC·CKD(완전분해제품)사업 중심으로 이익호조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현대글로비스는 2022년 4분기 매출 7조777억 원, 영업이익 4784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1년 4분기보다 매출은 21.1%, 영업이익은 47.1% 증가하는 것이다.
현대자동차 그룹 및 주요 완성차업체들의 생산회복이 본격화하며 현대글로비스의 국내·외 물류부문과 PCTC 사업은 사상 최대 매출을 새로 쓴 것으로 추정됐다.
높은 마진을 내는 PCTC사업부는 용선료가 지난해 4분기에도 상승세를 지속하며 이익호조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글로비스의 물류 및 CKD사업은 완성차 생산·판매에 영향을 받는 구조인데 올해 현대차·기아는 각각 지난해보다 판매량을 9.5%, 10.5% 늘릴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생산량은 판매량을 넘어서며 현대글로비스의 외형확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대차·기아가 미국에서 추진하는 전기차(EV) 신공장 건설은 물류·CKD 사업에서 장기 성장동력을 가시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이 가시화하며 이르면 올해 말부터 현대차그룹의 미국내 EV양산이 본격화하며 현대글로비스의 지속적 외형확대 배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