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주식시장에서 마트와 백화점 등 종목을 살필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증권가에서 나왔다.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투자분석팀은 28일 낸 ‘하나 구루 아이’ 보고서에서 “물가 상승세 둔화로 경제 상황에 관한 전망이 개선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도 3개월 만에 반등했다”며 오늘의 테마체크 항목으로 ‘유통’을 꼽았다.
소비심리가 개선되면 이마트, 현대백화점, 신세계 등 유통 기업 실적이 좋아질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증권은 내년 대형마트 관련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는 점, 내년 설 연휴까지는 유통업계에서 대규모 할인행사가 이어지는 점 등도 유통 관련주를 살펴야 하는 이유라고 봤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2년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가 예상하는 미래 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1월보다 0.4%포인트 낮아진 3.8%로 집계됐다.
기대인플레이션은 7월 4.7%로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인 뒤 6개월 만에 3%대를 회복한 것이다.
이처럼 경제 상황에 관한 전망이 개선되면서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도 89.9로 11월보다 3.4%포인트 높아졌다. 소비자심리지수가 반등한 것은 9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을 향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기준값 100보다 크면 소비자심리가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차화영 기자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투자분석팀은 28일 낸 ‘하나 구루 아이’ 보고서에서 “물가 상승세 둔화로 경제 상황에 관한 전망이 개선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도 3개월 만에 반등했다”며 오늘의 테마체크 항목으로 ‘유통’을 꼽았다.

▲ 28일 하나증권은 오늘의 테마체크 항목으로 ‘유통’을 제시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소비심리가 개선되면 이마트, 현대백화점, 신세계 등 유통 기업 실적이 좋아질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증권은 내년 대형마트 관련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는 점, 내년 설 연휴까지는 유통업계에서 대규모 할인행사가 이어지는 점 등도 유통 관련주를 살펴야 하는 이유라고 봤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2년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가 예상하는 미래 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1월보다 0.4%포인트 낮아진 3.8%로 집계됐다.
기대인플레이션은 7월 4.7%로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인 뒤 6개월 만에 3%대를 회복한 것이다.
이처럼 경제 상황에 관한 전망이 개선되면서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도 89.9로 11월보다 3.4%포인트 높아졌다. 소비자심리지수가 반등한 것은 9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을 향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기준값 100보다 크면 소비자심리가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