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호타이어가 제품 가격 인상 및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실적을 개선했다.
금호타이어는 올해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9776억 원, 영업이익 23억 원을 냈다고 14일 밝혔다. 2021년 3분기보다 매출은 50.7% 늘었고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로 돌아섰다.
금호타이어는 원자재 상승, 물류 운반비 상승, 글로벌 경기침체 등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놓였으나 글로벌 주요 시장 가격 인상 효과와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 비용절감 활동 등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을 개선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북미와 유럽 등 글로벌 주요 지역에서 차량 생산량이 증가해 신차용 타이어(OE)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금호타이어는 "올해 미국과 국내 금리인상, 글로벌 경기침체 등으로 불확실한 글로벌 타이어 시장 환경이 펼쳐질 것"이라며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고인치 판매 비중 확대, 내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 확보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
금호타이어는 올해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9776억 원, 영업이익 23억 원을 냈다고 14일 밝혔다. 2021년 3분기보다 매출은 50.7% 늘었고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로 돌아섰다.
▲ 금호타이어가 제품 가격 인상 및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실적을 개선했다.
금호타이어는 원자재 상승, 물류 운반비 상승, 글로벌 경기침체 등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놓였으나 글로벌 주요 시장 가격 인상 효과와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 비용절감 활동 등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을 개선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북미와 유럽 등 글로벌 주요 지역에서 차량 생산량이 증가해 신차용 타이어(OE)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금호타이어는 "올해 미국과 국내 금리인상, 글로벌 경기침체 등으로 불확실한 글로벌 타이어 시장 환경이 펼쳐질 것"이라며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고인치 판매 비중 확대, 내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 확보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