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가 아일랜드에서 보험급여 적용에 다가섰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아일랜드 국립약물경제학센터(NCPE)는 최근 세노바메이트(유럽 제품이름 온토즈리)를 보험급여 대상으로 올릴 것을 보건서비스집행부(HSE)에 권고했다.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항경련제(ASM)를 사용했으나 치료에 실패한 성인 뇌전증 부분발작 환자를 위한 2차 치료제 또는 보조 치료제 용도다.
국립약물경제학센터는 세노바메이트의 치료효과 및 비용 효율성을 따져 급여 권고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국립약물경제학센터가 SK바이오팜 유럽 파트너사 안젤리니파마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세노바메이트는 조니사마이드, 에슬리카바제핀 아세테이트, 페람파넬 등 경쟁 약물보다 더 긴 질보정수명(QALY)을 보장하면서 치료비용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보정수명은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기간을 함께 나타내는 지표다. 1 QALY는 완전히 건강한 상태로 1년을 생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립약물경제학센터는 특정 치료제의 비용과 편익을 검토하는 기관이다. 보건서비스집행부는 국립약물경제학센터의 권고를 바탕으로 최종 급여 여부를 결정한다.
세노바메이트는 2021년 유럽에서 판매허가를 받은 뒤 안젤리니파마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임한솔 기자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아일랜드 국립약물경제학센터(NCPE)는 최근 세노바메이트(유럽 제품이름 온토즈리)를 보험급여 대상으로 올릴 것을 보건서비스집행부(HSE)에 권고했다.

▲ 아일랜드 당국이 SK바이오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에 대한 보험급여 적용을 권고했다.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항경련제(ASM)를 사용했으나 치료에 실패한 성인 뇌전증 부분발작 환자를 위한 2차 치료제 또는 보조 치료제 용도다.
국립약물경제학센터는 세노바메이트의 치료효과 및 비용 효율성을 따져 급여 권고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국립약물경제학센터가 SK바이오팜 유럽 파트너사 안젤리니파마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세노바메이트는 조니사마이드, 에슬리카바제핀 아세테이트, 페람파넬 등 경쟁 약물보다 더 긴 질보정수명(QALY)을 보장하면서 치료비용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보정수명은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기간을 함께 나타내는 지표다. 1 QALY는 완전히 건강한 상태로 1년을 생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립약물경제학센터는 특정 치료제의 비용과 편익을 검토하는 기관이다. 보건서비스집행부는 국립약물경제학센터의 권고를 바탕으로 최종 급여 여부를 결정한다.
세노바메이트는 2021년 유럽에서 판매허가를 받은 뒤 안젤리니파마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