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이 유기농식품 미국사업에 호재를 만났다. 한국과 미국이 가공식품에 대한 유기농 인증을 상호인정하기로 협정을 맺었기 때문이다.
![]() |
||
▲ 남승우 풀무원홀딩스 대표이사 |
한국과 미국이 가공식품 유기농 인증을 7월1일부터 상호인정하기로 했다고 코트라 워싱턴 무역관이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에서 유기농 인증을 받은 가공식품은 상대국 규정에 따른 인증을 별도로 받지 않고도 ‘유기(organic)’로 표시해 수출입할 수 있게 됐다.
이로써 국내 식품회사들은 미국에서 유기능 인증을 받느라 별도로 들여야 했던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 특히 풀무원은 이번 협정으로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업계는 관측한다.
풀무원은 미국시장에 일찌감치 진출했다.
풀무원은 1991년 미국에 진출해 미국 교민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두부시장을 공략했다. 풀무원은 LA에 두부공장을 세운 데 이어 2002년 뉴욕과 2003년 LA에 제2, 제3 두부공장을 건설했다.
풀무원 또 미국시장에서 사업확대를 추진해 미국의 콩 가공식품 제조회사인 ′와일드우드 내추럴 푸드′를 인수했다.
풀무원은 또 지난해 미국의 식품회사인 ‘몬터레이 고메이 푸드’를 인수해 냉장 파스타 시장에도 진출했다. 몬터레이는 파스타와 소스류를 제조하는 회사로 2008년 연매출 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풀무원은 2011년 미국에서 프리미엄 두부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기는 등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지난해 풀무원의 미국매출은 1200억 원이었다.
하지만 계속 적자를 보는 등 수익을 아직 내지 못하고 있다. 미국법인인 '풀무원 USA'는 2012년 140억 원, 지난해에도 3분기까지 67억 원의 적자를 냈다.
풀무원은 이번 한미간 협정으로 주력 수출상품인 두부를 국내 유기농 인증만으로 미국시장에 수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용과 절차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본다.
미국 내 한인 수입업자는 "최근 미국 내에서도 유기농제품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번 유기농 인증제도 상호인정으로 한국 유기농 식품업체의 수출이 늘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유기농시장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미국 유기농시장에서 조리 및 가공식품의 비중은 10%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지난해 미국 유기농 식품 판매량은 351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은 현재 세계 유기농시장의 45%를 차지한다. 풀무원은 미국 유기농시장이 커짐에 따라 두부 수요도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두부가 유방암 등 질병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풀무원은 국내 유기농 가공식품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풀무원 유기농 두부는 2012년 국내 시장점유율 28%를 차지했고 콩나물과 같은 유기농 나물 점유율도 48%에 이른다.
남승우 풀무원홀딩스 사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올해 창사 30주년을 맞아 바른먹거리와 지속발전가능경영 가치를 심는 세계 속에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한미 협정에서 상호인증을 받을 수 있는 가공식품은 음료, 조리 및 포장 제품, 스낵, 양념 등이다. 유기농 식품은 양국의 규정에 따라 유기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제한된다.
한국에서 ‘친환경 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 지원에 관한 법률’을, 미국에서 ‘국가 유기 프로그램’(NOP) 규정을 따르도록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