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소방공무원을 국가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 지 2년이 넘었지만 소방예산의 대부분을 아직도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부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6일 용혜인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전체 소방예산 7조1437억 원 가운데 6조727억(85.0%)이 지자체 예산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비 예산 편성은 8157억9600만 원으로 11.8%에 불과했다.
특히 소방공무원 인건비 부분에서 지자체 쏠림현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소방공무원 인건비 4조9645억 원 가운데 소방안전교부세를 통한 국비 비중은 10.7%인 5321억9800만 원에 그쳤다.
용혜인 의원실의 분석에 따르면 2020년 4월1일 이후 채용된 인원의 인건비는 국가가 부담하지만 기존 소방공무원 대부분은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었다. 소방공무원 임금의 90%이상을 책임지는 지자체가 8곳이나 됐다.
소방예산을 지자체가 책임지는 현상은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의 ‘이중적 구조’가 원인으로 꼽힌다.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을 하면서 소방정책사업비를 늘리기 위해 소방회계법이 마련됐다. 하지만 특별회계를 새로 설치했을 뿐 예산 편성을 여전히 지자체에서 하게 돼있어 국가는 지원하는 역할만 맡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용혜인 의원은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당시 신분만 바꾸고 예산 책임을 고스란히 지자체에 떠맡긴 건 명백한 실책”이라며 “소방공무원 확충과 처우 개선을 위해서라도 소방청을 외청으로 독립시키고 소방예산을 국가예산으로 통합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후속조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26일 용혜인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전체 소방예산 7조1437억 원 가운데 6조727억(85.0%)이 지자체 예산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비 예산 편성은 8157억9600만 원으로 11.8%에 불과했다.

▲ 26일 용혜인 의원실에 따르면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에도 불구하고 전체 소방예산 가운데 지방자치단체 예산의 비중이 85%인 것으로 나타났다. <용혜인 의원실>
특히 소방공무원 인건비 부분에서 지자체 쏠림현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소방공무원 인건비 4조9645억 원 가운데 소방안전교부세를 통한 국비 비중은 10.7%인 5321억9800만 원에 그쳤다.
용혜인 의원실의 분석에 따르면 2020년 4월1일 이후 채용된 인원의 인건비는 국가가 부담하지만 기존 소방공무원 대부분은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었다. 소방공무원 임금의 90%이상을 책임지는 지자체가 8곳이나 됐다.
소방예산을 지자체가 책임지는 현상은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의 ‘이중적 구조’가 원인으로 꼽힌다.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을 하면서 소방정책사업비를 늘리기 위해 소방회계법이 마련됐다. 하지만 특별회계를 새로 설치했을 뿐 예산 편성을 여전히 지자체에서 하게 돼있어 국가는 지원하는 역할만 맡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용혜인 의원은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당시 신분만 바꾸고 예산 책임을 고스란히 지자체에 떠맡긴 건 명백한 실책”이라며 “소방공무원 확충과 처우 개선을 위해서라도 소방청을 외청으로 독립시키고 소방예산을 국가예산으로 통합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후속조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