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올해 상반기 금융투자·손해보험 관련 민원이 대폭 증가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금융민원 동향'에 따르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는 4만4333건으로 2021년 상반기보다 5.9% 늘었다.
금융권역별 민원접수 비중을 살펴보면 손해보험업권이 40.1%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생명보험업권 19.6%, 중소서민업권 16.2%, 금융투자업권 12.7%, 은행업권 11.4% 순서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금융민원 접수건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곳은 금융투자업권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5612건이 접수돼 지난해 상반기보다 무려 24.5% 늘었다.
특히 증권사 관련 민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29.7% 증가한 3625건으로 집계됐다.
펀드·주식매매·신탁 관련 민원은 감소했지만 전산장애 관련 민원이 대폭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HTS와 MTS 등 증권사 온라인 거래시스템 장애 관련 민원이 늘어 '내부통제·전산장애' 유형의 민원이 106.4% 증가한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손해보험 관련 민원은 1만7798건으로 13.7% 늘었다.
보험금 산정 및 지급 관련 민원은 2647건, 면책·부책 결정 등과 관련 민원은 1109건 증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 관련 실손보험 청구 민원 등 실손보험과 관련한 민원이 많았다.
중소서민금융 관련 민원은 7200건으로 집계돼 지난해 상반기보다 5.1% 증가했다.
특히 신용카드사에 대한 민원이 27% 늘면서 중소서민금융 관련 민원 접수건수 증가를 이끌었다.
반면 은행과 생명보험 권역에서는 민원 건수가 감소했다.
다만 은행권에서는 여신과 보이스피싱 관련 민원이 각각 12.8%, 84.9% 증가했다.
보이스피싱 관련 민원은 908건에 이르렀는데 이에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이용계좌 피해 예방을 위한 홍보 활동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안나 기자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금융민원 동향'에 따르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는 4만4333건으로 2021년 상반기보다 5.9% 늘었다.
▲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금융민원 동향'에 따르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는 4만4333건으로 2021년 상반기보다 5.9% 늘었다.
금융권역별 민원접수 비중을 살펴보면 손해보험업권이 40.1%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생명보험업권 19.6%, 중소서민업권 16.2%, 금융투자업권 12.7%, 은행업권 11.4% 순서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금융민원 접수건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곳은 금융투자업권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5612건이 접수돼 지난해 상반기보다 무려 24.5% 늘었다.
특히 증권사 관련 민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29.7% 증가한 3625건으로 집계됐다.
펀드·주식매매·신탁 관련 민원은 감소했지만 전산장애 관련 민원이 대폭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HTS와 MTS 등 증권사 온라인 거래시스템 장애 관련 민원이 늘어 '내부통제·전산장애' 유형의 민원이 106.4% 증가한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손해보험 관련 민원은 1만7798건으로 13.7% 늘었다.
보험금 산정 및 지급 관련 민원은 2647건, 면책·부책 결정 등과 관련 민원은 1109건 증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 관련 실손보험 청구 민원 등 실손보험과 관련한 민원이 많았다.
중소서민금융 관련 민원은 7200건으로 집계돼 지난해 상반기보다 5.1% 증가했다.
특히 신용카드사에 대한 민원이 27% 늘면서 중소서민금융 관련 민원 접수건수 증가를 이끌었다.
반면 은행과 생명보험 권역에서는 민원 건수가 감소했다.
다만 은행권에서는 여신과 보이스피싱 관련 민원이 각각 12.8%, 84.9% 증가했다.
보이스피싱 관련 민원은 908건에 이르렀는데 이에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이용계좌 피해 예방을 위한 홍보 활동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안나 기자